총 2,436건 중 1,000건 출력
, 9/100 페이지
-
81
-
川西裕也著『朝鮮中近世の公文書と国家-変革期の任命文書をめぐって-』
-
六反田, 豊;
東京大学
大学
院人文社会
系研
究科;
(法制史硏究,
v.65,
2016,
pp.229-234)
-
82
-
Art. 111 Abs. 3 KV und normative Bedeutung von Ernennung, Wahl und Bestimmung gemäß der KV
-
Kim, Hae Won;
;
(憲法學硏究 = Constitutional Law,
v.31,
2025,
pp.399-445)
-
83
-
동대문 소매상권의 재활성화를 위한 전략연구
-
임명서;
김도연;
이문규;
연세대학교 경영학과;
연세대학교 경영학과;
연세대학교 경영학과;
(패션비즈니스 = Fashion business,
v.14,
2010,
pp.41-57)
-
84
-
고려시대 현령(縣令)과 현위(縣尉)의 임명과 운영의 변화
-
최은규;
고려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22,
pp.197-242)
-
85
-
헌법재판소 구성․임명 등과 관련한 개정방향
-
최희수;
강원대학교;
(헌법학연구,
v.17,
2011,
pp.161-197)
-
86
-
직무요구 및 직무자원과 안전순응의 관계에서 직무소진의 매개역할
-
임명서;
안관영;
상지대학교 경영학과;
상지대학교 경영학과;
(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& science,
v.16,
2014,
pp.89-99)
-
87
-
The Impact of Regime Pattern of Germany on Governmental Reorganization and Minister Appointment
-
Park, Dae Shik;
;
(사회과학연구 :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= Journal of Social Science,
v.31,
2020,
pp.141-168)
-
88
-
박헌영의 북한군 초대 총정치국장 임명 배경 연구
-
고명균;
여주 대신중학교;
(현대북한연구,
v.17,
2014,
pp.200-259)
-
89
-
고려말기 元 任命箚付 體式의 수용 - 「金天富箚付」의 검토 -
-
카와니시 유야;
일본 큐슈대학교;
(古文書硏究,
v.35,
2009,
pp.105-129)
-
90
-
고려시대 감무(監務)의 운영과 그 특징 - 임명 사례의 분석을 중심으로 -
-
최은규;
고려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20,
pp.425-46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