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9건 중 119건 출력
, 9/12 페이지
-
81
-
전후 1950년대 한일 양국의 예술과 외설 논쟁 -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『열쇠』와 정비석의 『자유부인』을 중심으로
-
김상원;
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;
(우리문학연구,
v.0,
2016,
pp.303-330)
-
82
-
정비석의「성황당」과 김동리의「산화」에 나타난 자연의 의미
-
오양진;
;
(한국근대문학연구 =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,
v.2010,
2010,
pp.301-327)
-
83
-
1950년대 ‘직업여성’ 담론을 통해 본 여성들의 일과 결혼 ― 정비석의 『여성전선』, 『세기의 종』을 중심으로 ―
-
나보령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학과 예술,
v.0,
2017,
pp.319-353)
-
84
-
귀스타브 플로베르의 『마담 보바리』와 정비석의 『자유부인』 비교: 주인공의 자아의식과 그에 따른 행동방식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
-
권보택;
경복대학교;
(동서비교문학저널,
v.0,
2013,
pp.29-73)
-
85
-
부인명(夫人名) 소설에 나타난 여주인공의 성(性)의 자각 과정 연구- 정비석의 『자유부인』과 로렌스의 『채털리 부인의 사랑』을 중심으로-
-
강찬모;
청주대학교 국문과 강사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11,
2007,
pp.305-325)
-
86.
- 황진이 소재 역사소설의 사적 고찰
- 장선희
-
호서대학교, 국내박사,
ii, 131장, 2010
-
87
-
연애소설과 젠더 질서 재구축의 논리 -김내성의 <실낙원의 별>을 중심으로-
-
이선미;
동국대;
(대중서사연구 = Journal of popular narrative,
v.15,
2009,
pp.175-210)
-
88
-
건국 50년, 책의 사회사(3)-휴전 직후
-
강철주;
대한출판문화협회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254,
1999,
pp.16-17)
-
89.
- 鄭飛石의 「城隍堂」 硏究
- 김홍영
-
충남대학교, 국내석사,
70장, 1993
-
90.
- 근대 한국문인의 북경 인식 연구
- 이심역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121 p., 201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