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06건 중 306건 출력
, 9/31 페이지
-
81
-
닥나무 인피섬유의 증해액이 섬유와 종이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
-
정소윤;
류은정;
정선화;
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;
국민대학교 문화재보존학과;
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;
(펄프 종이기술 = Journal of Korea TAPPI,
v.51,
2019,
pp.91-101)
-
82
-
대용섬유자원으로써 어저귀를 이용한 한지제조(제3보) - 어저귀 한지의 발묵 특성 -
-
정선화;
조남석;
최태호;
충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;
충북대학교 목재.종이과학과;
충북대학교 목재.종이과학과;
(목재공학 =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,
v.33,
2005,
pp.60-65)
-
83
-
대용섬유자원으로써 어저귀를 이용한 한지제조(제2보) -인피 및 목질부 섬유를 이용한 한지 제조-
-
정선화;
조남석;
최태호;
충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;
충북대학교 농과대학 임산공학과;
충북대학교 농과대학 임산공학과;
(목재공학 =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,
v.32,
2004,
pp.1-8)
-
84
-
고문헌 보존처리의 클리닝 방법에 따른 인공열화지 물성 변화 - 침적 습식클리닝을 중심으로 -
-
정선화;
조안나;
국립문화재연구소;
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;
(문화재,
v.46,
2013,
pp.228-237)
-
85
-
예비유아교사의 교사 상상력에 대한 이해 탐구: 상상력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을 중심으로
-
하정희;
정선화;
;
(영유아교육: 이론과 실천,
v.3,
2018,
pp.47-72)
-
86
-
능이버섯 및 Protease효소의 첨가가 연육에 미치는 영향
-
조희연;
정선화;
조남석;
미국 데이비스캘리포니아대학 분자세포생물학연구실;
충북대학교 산림과학부 목재종이과학전공;
충북대학교 산림과학부 목재종이과학전공;
(목재공학 =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,
v.32,
2004,
pp.39-44)
-
87
-
인쇄 및 필기 한글 우편영상에서의 수취인 주소 영역 추출 방법
-
정선화;
장승익;
임길택;
남윤석;
한국전자통신연구원;
한국전자통신연구;
한국전자통신연구;
한국전자통신연구원;
(정보과학회논문지. Journal of KIISE. 소프트웨어 및 응용,
v.31,
2004,
pp.8-19)
-
88
-
비디오 촉진과 최소-최대 촉진이 자폐성 장애아동의 손 씻기 기술에 미치는 효과
-
고미현;
정선화;
ABA코칭센터;
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;
(행동분석ㆍ지원연구,
v.11,
2024,
pp.169-188)
-
89
-
창덕궁 도배에 사용된 문양지의 지질 및 안료 연구
-
김지원;
손하늘;
조규혁;
정선화;
국립문화유산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 연구원;
국립문화유산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 연구원;
국립문화유산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 연구원;
국립문화유산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 학예연구사;
(헤리티지: Korean journal of Heritage: 역사와 과학,
v.57,
2024,
pp.136-151)
-
90
-
Menadione과 Plasma내의 Protein Thiol의 비효소적인 화학반응에 의한 활성산소 생성
-
정선화;
이무열;
이주영;
장문정;
정진호;
서울대학교 약학대학;
서울대학교 약학대학;
서울대학교 약학대학;
국민대학교 사범대학;
서울대학교 약학대학;
(한국독성학회지 = The Korean journal of toxicology,
v.13,
1997,
pp.223-22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