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2건 중 92건 출력
, 9/10 페이지
-
81
-
한일 어구 유사성에 대한현장론적 이해 제고- 뻘배, 떼배, 주낙, 해녀 도구를 중심으로-
-
정연학;
국립민속박물관;
(무형유산,
v.0,
2018,
pp.73-104)
-
82
-
동해의 명태잡이에 대한 한일 갈등과 명태문화의 확산
-
정연학;
국립민속박물관;
(민속학연구,
v.0,
2021,
pp.199-230)
-
83
-
두레 용대기(龍大旗)의 연원과 그 특징
-
정연학;
국립민속박물관;
(민속학연구,
v.0,
2022,
pp.5-51)
-
84
-
한국 추석과 중국 중추절 풍속 비교 고찰
-
정연학;
국립민속박물관;
(韓國史學報,
v.0,
2021,
pp.125-174)
-
85
-
조선시대 포은(圃隱) 정몽주 치제의례(致祭儀禮)
-
정연학;
국립민속박물관;
(포은학연구,
v.23,
2019,
pp.155-206)
-
86
-
『어구도집(漁具圖集)』
-
정연학;
국립민속박물관;
(해양유산,
v.6,
2024,
pp.189-198)
-
87
-
쟁기(리)속에 비친 민속 - 한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-
-
정연학;
국립민속박물관;
(고문화,
v.0,
1999,
pp.87-103)
-
88
-
중국민속학계의 동향과 한국 민속학의 설 자리 모색
-
정연학;
팡지엔춘;
국립민속박물관;
홍익대학교;
(한국민속학,
v.51,
2010,
pp.137-176)
-
89
-
프린지 필드에 의해 구동되는 하이브리드형 네마틱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기광학 특성
-
정연학;
김향율;
이승희;
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;
전북대학교;
전북대학교;
(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,
v.15,
2002,
)
-
90
-
큰 빛 12기의 도전: 희망 초등학교 큰 빛 12기의 학급문화 구조에 관한 사례연구
-
류태호;
양진예;
정연학;
한만석;
고려대학교;
고려대학교;
고려대학교;
고려대학교;
(한국체육학회지,
v.52,
2013,
pp.235-25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