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8건 중 188건 출력
, 9/19 페이지
-
81
-
위당 정인보의 교유 관계와 교유의 배경 - 백낙준・백남운・송진우와의 교유 관계를 중심으로 -
-
윤덕영;
국사편찬위원회;
(동방학지,
v.0,
2016,
pp.35-73)
-
82
-
金台俊의 「鄭寅普論」을 통해 본 解放前 爲堂 鄭寅普에 대한 評價
-
최재목;
;
(陽明學 = Yang-ming studies,
v.20,
2008,
pp.83-121)
-
83
-
「조선문학원류초본(朝鮮文學源流草本)」을 통해 본 정인보(鄭寅普)의 ‘조선문학’ 구상
-
김진균;
성균관대학교;
(반교어문연구,
v.0,
2015,
pp.35-62)
-
84.
- 한국선도의 홍익정치 전통과 삼균주의의 미래
- 소대봉
-
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전문대학원, 국내박사,
214, 2025
-
85
-
근대기 현실인식 및 개혁에 관한 불교와 하곡학의 교섭-박한영, 이건방, 정인보를 중심으로-
-
김윤경;
성균관대학교;
(인문학연구,
v.0,
2017,
pp.41-80)
-
86
-
식민지시기 京鄕 한학자들의 교유–변영만, 조긍섭과 정인보, 하겸진의 교유를 중심으로
-
김진균;
성균관대학교;
(한문학논집(漢文學論集),
v.60,
2021,
pp.275-300)
-
87
-
근대 유교지식인의 주체 인식과 사회적 구현의 문제-정인보의 ‘감통(感通)’론을 중심으로
-
박태옥;
대전대학교;
(동서철학연구,
v.0,
2021,
pp.165-190)
-
88.
- CFRP판의 보강방법에 따른 RC보의 휨거동 특성
- 정인보
-
충북대학교 산업대학원, 국내석사,
ix, 45 p., 2006
-
89.
- 『임꺽정』에 나타난 '갖바치'의 소설내적 기능과 그 의미
- 정인보
-
安東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84 p., 2000
-
90
-
한국양명학의 생명사상
-
김세정;
충남대학교;
(동서철학연구,
v.0,
2006,
pp.89-11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