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8건 중 118건 출력
, 9/12 페이지
-
81
-
지구화 과정에서의 성평등을 위한 전통의 재발견- 道? 문화를 중심으로
-
정재서;
이화여자대학교;
(중국어문학지,
v.0,
2002,
pp.7-164)
-
82
-
신들의 행차와 요괴들의 행렬 - 상상계의 정치성
-
정재서;
이화여자대학교;
(중국문학,
v.56,
2008,
pp.47-61)
-
83
-
제3의 중국학은 가능한가? - 그 실현을 위한 예증
-
정재서;
이화여자대학교;
(중국문학,
v.54,
2008,
pp.1-18)
-
84
-
世界化ㆍ唐ㆍ오늘의 中國 - 쉐이퍼(E. H. Schafer) 교수를 생각하며
-
정재서;
이화여자대학교;
(중어중문학,
v.0,
2008,
pp.3-18)
-
85
-
여행의 상징의미 및 그 문학적 수용― 『목천자전(穆天子傳)』에서 최인훈의 『서유기(西遊記)』까지
-
정재서;
이화여자대학교;
(중어중문학,
v.33,
2003,
pp.275-292)
-
86
-
중국신화의 상호주관성과 동아시아 문화적 위상
-
정재서;
이화여자대학교;
(도교문화연구,
v.51,
2019,
pp.9-34)
-
87
-
호남 도교의 진인대망론(眞人待望論)과 강증산의 탄강(誕降)
-
정재서;
이화여자대학교;
(대순사상논총,
v.41,
2022,
pp.1-25)
-
88
-
중국 시애설화(屍愛說話)의 유형 및 문화적 의미 - 『수신기(搜神記)』를 중심으로
-
정재서;
이화여자대학교;
(도교문화연구,
v.0,
2015,
pp.327-347)
-
89
-
‘척주동해비(陟州東海碑)’에 표현된 『산해경(山海經)』의 신화적 이미지들 -정치성인가? 주술적 현실인가?
-
정재서;
이화여자대학교;
(영상문화,
v.0,
2016,
pp.1-28)
-
90
-
조선 시대의 『산해경(山海經)』 수용 약론(略論)-문헌자료를 중심으로-
-
정재서;
이화여자대학교;
(도교문화연구,
v.0,
2017,
pp.201-23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