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,555건 중 1,000건 출력
, 9/100 페이지
-
81
-
원주 협동조합운동과 대안의 지역 공동체
-
박준영;
;
(환경과 생명,
v.63,
2010,
pp.221-232)
-
82
-
공동주택 중앙광장의 개방 구조에 따른 지역 공동체의식의 차이
-
강연주;
박종완;
임승빈;
(주)우리엔디자인펌;
(주)우리엔디자인펌;
서울대학교 조경.지역시스템공학부;
(한국조경학회지 =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,
v.37,
2009,
pp.21-32)
-
83.
- 지역공동체 기반 작은도서관 운영진의 상황학습경험
- 신은미
-
아주대학교, 국내석사,
89, 2021
-
84
-
세계화에 대응하는 지방화 - 지역공동체 형성의 중요성을 중심으로
-
權泰埈;
;
(국토정보,
v.164,
1995,
pp.73-80)
-
85
-
지역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공공미술 연구 : 대전시 <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> 사례를 중심으로
-
권두완;
장웅조;
홍익대학교;
홍익대학교;
(지역과문화,
v.7,
2020,
pp.1-20)
-
86.
- 지역공동체 운동과 생태위기의 극복 : 두레마을을 중심으로
- 김성균
-
단국대학교, 국내석사,
113p., 1994
-
87.
- 지역공동체 구성원의 사회적 자본, 공동체 의식, 주민참여와 사회적 지속가능성 간의 구조적 관계
- 백주경
-
숭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49 p., 2023
-
88.
- 지역공동체 형성을 위한 지역교환프로그램 운영개선에 관한 연구
- 유지민
-
중앙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84 p., 2001
-
89
-
아파트 단지 내 작은도서관 자원봉사 경험이 지역공동체 의식형성에 미치는 영향: D 광역시 아파트 작은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
-
이아영;
이성신;
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;
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;
(정보관리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,
v.40,
2023,
pp.53-71)
-
90
-
생명지역주의: 생태공동체 운동의 이념적 기초
-
송명규;
김병량;
;
(한국지역개발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,
v.13,
2001,
pp.185-19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