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852건 중 852건 출력
, 9/86 페이지
-
81
-
영양각산(羚羊角散)이 진경(鎭痙), 해열(解熱), 진통(鎭痛), 진정(鎭靜) 및 GABAergic system에 미치는 영향
-
김진희;
문병순;
성강경;
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 교실;
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 교실;
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 교실;
(韓國韓醫學硏究所論文集 =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,
v.2,
1996,
pp.205-225)
-
82.
- 朝鮮 後期 眞景山水畵의 寫實論에 관한 硏究
- 유재춘
-
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48 p., 2009
-
83
-
조선후기 사의적 진경산수화의 형성과 전개
-
박은순;
;
(미술사연구 = Journal of art history,
v.2002,
2002,
pp.333-364)
-
84
-
眞景山水畵 硏究에 대한 비판적 검토 ―眞景文化?眞景時代論을 중심으로―
-
박은순;
덕성여대;
(한국사상사학,
v.0,
2007,
pp.71-129)
-
85
-
도통진경의 실천적 배경
-
주현철;
;
(대순사상논총,
v.5,
1998,
pp.569-613)
-
86
-
대순사상(大巡思想)의 도통진경(道通眞境)과 이상세계(理想世界)에 대한 현대적(現代的) 이해(理解)
-
裵圭漢;
대진대학교 경제학과;
(大巡思想論叢 =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,
v.5,
1998,
pp.377-453)
-
87.
- 謙齋 鄭敾 眞景山水畵의 氣韻生動과 복원모사 연구
- 백지희
-
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p175, 2020
-
88
-
진경제
-
송경호;
건양대학교;
(Korean Journal of Helicobacter Upper Gastrointestinal Research,
v., 22,
2022,
pp.102-107)
-
89
-
眞景山水畵와 朝鮮性理學
-
지순임;
상명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09,
pp.37-65)
-
90
-
성오틸리엔 수도원 소장 정선필 진경산수화
-
케이 E. 블랙;
에크하르트 데거;
;
(미술사연구 = Journal of art history,
v.2001,
2001,
pp.225-24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