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5건 중 115건 출력
, 9/12 페이지
-
81
-
해석적 언어 사용의 두 측면에서 바라본 간접인용구문의 용법
-
채숙희;
인천대학교;
(한민족어문학(구 영남어문학),
v.0,
2020,
pp.87-120)
-
82
-
종결형 ‘-다고’류와 전달 증거성
-
채숙희;
인천대학교;
(언어학 연구,
v.0,
2019,
pp.101-128)
-
83
-
정연주, 『구문의 자리채우미 ‘하다’ 연구』 (2017)에 대한 검토
-
채숙희;
인천대학교;
(형태론,
v.26,
2024,
pp.235-254)
-
84
-
학술 텍스트에서 ‘-는가/(으)ㄴ가’, ‘-나’, ‘-(으)ㄹ까’의 의미와 의문문의 담화 기능
-
채숙희;
인천대학교;
(언어학 연구,
v.0,
2023,
pp.121-147)
-
85
-
현대 한국어 연결어미 연구의 성과와 과제
-
채숙희;
인천대학교;
(國語學,
v.0,
2023,
pp.469-524)
-
86
-
한국어교재의 지시어 분석 - 지시관형사와 지시대명사를 중심으로 -
-
채숙희;
인천대학교;
(한민족어문학(구 영남어문학),
v.0,
2018,
pp.97-133)
-
87
-
한국어 교재에서의 ‘종결어미+보다/싶다/하다’ 구문 제시 방안 연구
-
채숙희;
인천대학교;
(국어국문학,
v.0,
2025,
pp.85-129)
-
88
-
일본인 학습자용 한국어 교재에 대한 고찰- 1890년~1945년에 간행된 교재를 중심으로 -
-
박기영;
채숙희;
서울시립대학교;
서울대학교;
(이중언어학,
v.0,
2007,
pp.131-158)
-
89
-
고전 시학과 바로크 시학의 연구와 그 가능성 - 부알로의 『시학』과 생 타망의 ‘시학’을 중심으로 -
-
곽동준;
채숙희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;
(프랑스 문화 연구,
v.0,
2008,
pp.315-343)
-
90
-
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 사용 연구
-
남수경;
채숙희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(한국어교육,
v.15,
2004,
pp.33-5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