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1건 중 161건 출력
, 9/17 페이지
-
81
-
중국조선족 소설에 나타난 한국의 이미지 연구
-
최병우;
강릉원주대학교;
(한중인문학연구,
v.0,
2010,
pp.29-50)
-
82
-
⟨고난의 년대⟩의 탈식민주의적 연구
-
최병우;
;
(한중인문학연구,
v.0,
2006,
pp.132-153)
-
83
-
서술자의 신빙성에 관한 연구―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과 관련하여 ―
-
최병우;
강릉원주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19,
2003,
pp.107-128)
-
84
-
탈북 도우미의 소설화 양상과 그 의미
-
최병우;
강릉원주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16,
pp.327-355)
-
85
-
탈북이주민에 관한 소설적 대응 양상
-
최병우;
강릉원주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16,
pp.323-353)
-
86
-
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이주의 인간학
-
최병우;
강릉원주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12,
pp.9-39)
-
87
-
김학철 소설에 나타난 체험의 형상화 방식 연구
-
최병우;
강릉원주대학교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10,
pp.365-391)
-
88
-
허련순의 장편소설에 나타난 정체성의 변화- ⟨바람꽃⟩, ⟨누가 나비의 집을 보았을까⟩, ⟨중국색시⟩를 중심으로 -
-
최병우;
강릉원주대학교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15,
pp.447-477)
-
89
-
조선족 소설에 나타난 민족의 문제
-
최병우;
강릉원주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09,
pp.501-536)
-
90
-
해방 후 귀환소설에 나타난 만주 체험과 그 의미
-
최병우;
강릉원주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11,
pp.77-10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