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18건 중 318건 출력
, 9/32 페이지
-
81
-
동아시아에서 하곡 정제두의 양명학의 갖는 의미
-
최재목;
;
(양명학,
v.0,
2005,
pp.5-34)
-
82
-
『傳習錄』과 『退溪先生言行錄』의 言行 比較로 본 陽明과 退溪의 思想的 同異點
-
최재목;
영남대학교;
(퇴계학논집,
v.0,
2009,
pp.241-284)
-
83
-
「심학」의 동아시아적 전개
-
최재목;
;
(日本文化硏究 = Japanese cultural studies,
v.42,
2012,
pp.557-589)
-
84
-
金源極을 통해서 본 1910년대 陽明學 이해의 특징
-
최재목;
;
(양명학,
v.0,
2009,
pp.149-186)
-
85
-
朝鮮에서 朱子 『大学章句』에 대한 한 挑戦 - 盧守愼의 『大學集錄』을 中心으로 -
-
최재목;
;
(양명학,
v.0,
2010,
pp.121-174)
-
86
-
『千字文』의 ‘天地’ 환경교육에 대한 한 試論
-
최재목;
;
(양명학,
v.0,
2007,
pp.349-377)
-
87
-
왕양명의 초상과 폐병, 그리고 측달지심(惻怛之心)의 관련성 시론(試論)
-
최재목;
영남대학교;
(퇴계학논집,
v.0,
2019,
pp.291-331)
-
88
-
울릉도에서 獨島가 보이는 조건 ‘風日淸明’의 해석
-
최재목;
영남대학교;
(日本思想,
v.0,
2014,
pp.48-68)
-
89
-
동양철학에서 보는 ‘생명’의 의미
-
최재목;
영남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06,
pp.343-368)
-
90
-
退溪의 肖像畵에 대하여 - 近․現代期 ‘退溪像’ 탄생에 대한 성찰을 겸해서 -
-
최재목;
영남대학교;
(퇴계학논집,
v.0,
2008,
pp.85-12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