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8,697건 중 1,000건 출력
, 90/100 페이지
-
891
-
에토스에 관한 철학: 윤리학의 기원과 교육의 문제
-
송유레;
경희대학교;
(서양고전학연구,
v.60,
2021,
pp.131-156)
-
892
-
미디어교육의 철학에 관한 연구: 비판적 교육학의 합리성 개념을 중심으로
-
윤영태;
동의대학교;
(지역과 커뮤니케이션,
v.15,
2011,
pp.261-287)
-
893
-
듀이의 철학적 어린이 이해와 ‘아동중심’의 교육적 의미
-
이태영;
양은주;
전남대학교;
광주교육대학교;
(교육사상연구,
v.29,
2015,
pp.107-135)
-
894
-
Massimo Vignelli의 디자인 철학이 디자인 교육에 미치는 영향 연구
-
박종빈;
우송대학교;
(조형미디어학,
v.21,
2018,
pp.85-93)
-
895
-
21세기 민주시민교육과 철학의 기여 –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시민교육 담론과 연계해서
-
서영식;
충남대학교;
(동서철학연구,
v.0,
2020,
pp.553-574)
-
896
-
듀이 철학에서 정치적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교육적 방안
-
이주한;
춘천교육대학교;
(교육사상연구,
v.23,
2009,
pp.351-372)
-
897
-
李滉 理氣의 統一 哲學的 解釋과 敎育的 意義
-
이종흔;
부산대학교;
(통일전략,
v.16,
2016,
pp.247-282)
-
898
-
달라이 라마의 철학이 행복교육에 주는 시사점 연구
-
김진영;
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;
(철학논집,
v.48,
2017,
pp.77-102)
-
899
-
초등철학교육을 위한 반성적 사고일지 개발 및 활용 연구
-
김남기;
이진남;
강원대학교;
강원대학교;
(인간연구,
v.0,
2020,
pp.193-222)
-
900
-
플라톤과 들뢰즈 철학에서의 ‘문제’의 성격 탐색 - ‘재현의 교육’ 대 ‘생성의 교육’을 중심으로 -
-
김재춘;
배지현;
영남대학교;
영남대학교;
(아시아교육연구,
v.13,
2012,
pp.187-21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