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176건 중 1,000건 출력
, 90/100 페이지
-
891
-
역사 반성으로서의 자서전-에른스트 톨러의 『독일에서의 청춘』
-
이상복;
원광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16,
pp.99-120)
-
892
-
프롤레타리아문학 속의 노동자 표상 연구-여성작가를 중심으로-
-
이상복;
삼육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7,
pp.203-220)
-
893
-
브레히트 개작과 현시적(現時的) 의의에 대한 연구
-
이상복;
원광대학교;
(브레히트와 현대연극,
v.0,
2008,
pp.27-52)
-
894
-
히라바야시 다이코(平林たい子)의 『시료실에서(施療室にて)』론 -⟨나⟩의 젠더 의식과 사상의 발로(發露)-
-
이상복;
삼육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2,
pp.439-454)
-
895
-
하야시 후미코의『굴(牡蠣)』론 -시류(時流)에 영합하지 못하는 청년의 좌절감-
-
이상복;
삼육대학교;
(일어일문학,
v.0,
2013,
pp.213-227)
-
896
-
방랑(放浪)에서 허무(虛無)로 -하야시 후미코(林芙美子)의『뜬구름(浮雲)』중심으로-
-
이상복;
삼육대학교;
(일어일문학,
v.0,
2012,
pp.301-316)
-
897
-
여성작가의 늙음과 성에 대한 담론 - 엔치 후미코의「요염」을 중심으로 -
-
이상복;
삼육대학교;
(일어일문학,
v.0,
2015,
pp.257-272)
-
898
-
하야시 후미코의『 방랑기』 -가족, 부녀관계를 중심으로-
-
이상복;
삼육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4,
pp.309-324)
-
899
-
인민전선사건과 히라바야시 다이코 ― 『나는 살아간다(私は生きる)』에 나타난 내부생명력 ―
-
이상복;
삼육대학교;
(한일군사문화연구,
v.16,
2013,
pp.263-281)
-
900
-
패전 후의 일본 사회와 서민생활-하야시 후미코의 「눈보라」와 「비」를 중심으로-
-
이상복;
삼육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6,
pp.183-19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