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,513건 중 1,000건 출력
, 90/100 페이지
-
891
-
시대의 나팔수로부터 작가 주체의식의 발현으로 ― 『龍鬚溝』에서 『茶館』까지
-
신진호;
연세대학교;
(중국어문학논집,
v.0,
2009,
pp.411-428)
-
892
-
개념 기반 탐구학습으로서의 음악 창작 교수·학습 방안 제안
-
정윤정;
한국교원대학교;
(예술교육연구,
v.22,
2024,
pp.323-345)
-
893.
- <계녀가(誡女歌)>의 교수·학습 방안 연구
- 염수현
-
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55 p., 2009
-
894.
- 協同學習에 의한 音樂 創作 授業 方案 硏究
- 구인혜
-
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, 62 p., 2009
-
895
-
생성형 AI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 고찰 - 출판물을 중심으로 -
-
이미나;
경희대학교 예술·디자인대학 시각디자인학과;
(한국디자인포럼,
v.29,
2024,
pp.131-140)
-
896
-
아름다움과 감동으로 표출된 낭만성 - 김병훈의「길동무들」을 중심으로
-
김은정;
;
(돈암語文學 = The Sungshin language and literature,
v.20,
2007,
pp.159-187)
-
897.
-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7학년 음악교과서의 국악내용 분석
- 이수연
-
성신여자대학교, 국내석사,
vi, 77장, 2010
-
898.
- 놀이 그림책 <길> 창작 과정 연구
- 김민경
-
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ⅳ,109p, 2019
-
899.
- 민중 문화예술 활동이 한국사회의 변화에 미친 영향 : 518 민주화운동의 민중문화운동과 민중예술활동을 중심으로
- 윤만식
-
조선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83, 2020
-
900
-
‘작가(作家)’ 관련 개념의 변용 양상과 ‘작가론(作家論)’의 형성 과정 - 1910년대~1930년대 중반 식민지 조선의 경우를 중심으로 -
-
강용훈;
한림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13,
pp.207-23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