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,512건 중 1,000건 출력
, 91/100 페이지
-
901
-
도서관 프로그램 재해석에 기반한 공간구성 제안 - 국립세종도서관의 운영기본계획을 중심으로 -
-
천혜선;
이정미;
곽승진;
경민대학교 가구인테리어디자인학과;
인덕대학교 도시환경디자인과;
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;
(한국문헌정보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,
v.47,
2013,
pp.363-387)
-
902
-
지진 시 George Massey 침매터널의 거동에 관한 연구
-
박성식;
문홍득;
원광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도시공학부;
진주산업대학교 이공대학 토목공학과;
(大韓土木學會論文集,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, C. 지반공학, 터널공학,
v.28,
2008,
pp.221-230)
-
903
-
대학생(大學生)의 캐주얼 의류 구매 상권분석(衣類 購買 商圈分析) - 구매 시기(購買 時期)를 중심(中心)으로 -
-
정현주;
김흥관;
최은미;
동의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;
동의대학교 도시공학과;
동의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;
(패션비즈니스 = Fashion business,
v.10,
2006,
pp.148-163)
-
904
-
모의실험에 의한 청주S(3)택지개발지구 원흥이생태공원일대 우수저류시설의 빗물저류효과 분석 연구
-
김기수;
이태구;
황희연;
충주대학교 건축학과;
세명대학교 건축공학과;
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;
(生態環境建築 =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,
v.7,
2007,
pp.25-30)
-
905
-
장소성과 문화경관으로 해석한 태안 백화산의 다층적 종교 관성
-
노재현;
박주성;
고여빈;
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;
고려대학교 대학원;
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;
(韓國傳統造景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,
v.28,
2010,
pp.36-48)
-
906
-
구곡원림(九曲園林)에서 찾는 신선경(神仙境)의 경관 스토리보드 - 괴산 갈은구곡(葛隱九曲)을 대상으로 -
-
노재현;
박주성;
심우경;
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;
고려대학교 대학원;
고려대학교 조경학 연구실;
(韓國傳統造景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,
v.29,
2011,
pp.90-104)
-
907
-
우리나라 논의 지리적 입지특성과 축소지역 예측
-
김현중;
정일훈;
루이지애나주립대 인류 및 지리학과;
안양대학교 도시정보공학과;
(농촌지도와 개발 =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& community development,
v.27,
2020,
pp.75-87)
-
908
-
B2B 시장에서 구매기업의 CSR 활동이 공급업체의 신제품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: 신뢰와 정보교환 품질의 역할을 중심으로
-
이한근;
정남식;
강성호;
목포대학교 경영학과;
목포대학교 도시 및 지역개발학과;
조선대학교 경영학부;
(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=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,
v.26,
2021,
pp.55-68)
-
909
-
미기상해석모듈 출력물의 정확성에 대한 객체기반 검증법: 한반도 풍속예측모형의 정확성 검증에의 응용
-
김혜중;
곽화륜;
김상일;
최영진;
동국대학교 통계학과;
동국대학교 통계정보기술연구소;
기상기술개발원 차세대도시농림융합기상사업단;
기상기술개발원 차세대도시농림융합기상사업단;
(응용통계연구 =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,
v.28,
2015,
pp.1275-1288)
-
910
-
서울시 가로경관 특성화 및 녹량증진을 위한 가로녹지 개선 방안
-
변혜옥;
한봉호;
기경석;
정진미;
(주)3S개발;
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;
도시생태학연구센터;
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;
(한국조경학회지 =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,
v.40,
2012,
pp.35-4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