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,678건 중 1,000건 출력
, 91/100 페이지
-
901
-
마음챙김에 기반을 둔 정서조절 개입에서가정에서의 명상 실습과 정신건강 성과지표들 간의 관계 및자기 자비의 매개 역할
-
조용래;
한림대학교;
(인지행동치료,
v.18,
2018,
pp.23-53)
-
902
-
외상 후 정서 척도의 개발과 심리측정적 속성
-
주은;
조용래;
한림대학교 심리학과;
한림대학교 심리학과;
(인지행동치료,
v.18,
2018,
pp.435-465)
-
903
-
냉담-무정서 특질이 여자 청소년의 외현화 및 품행문제에 미치는 영향: 부모 모니터링의 단기종단 매개효과
-
이주영;
동덕여자대학교 아동학과;
(인지행동치료,
v.18,
2018,
pp.393-411)
-
904
-
체력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집중적 운동 수행이대학생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
-
김하림;
정경미;
김윤명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 학부대학;
(인지행동치료,
v.18,
2018,
pp.55-83)
-
905
-
한국판 보속적 사고 질문지(K-PTQ)의 타당화
-
최수진;
황성훈;
한양사이버대학교;
한양사이버대학교;
(인지행동치료,
v.19,
2019,
pp.89-108)
-
906
-
이분법적 사고가 사회적 상황의 해석에 미치는 영향
-
박솔빈;
황순택;
충북대학교 심리학과;
충북대학교;
(인지행동치료,
v.19,
2019,
pp.341-354)
-
907
-
대인관계적 정서조절 질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: 한국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
-
한진솔;
노상선;
조용래;
서수연;
한림대학교;
한림대학교;
한림대학교;
성신여자대학교;
(인지행동치료,
v.19,
2019,
pp.1-36)
-
908
-
대처유연성, 미래 중심적 대처와 외상 중심적 대처가 복잡성 사별 비애의 보호요인이 되는가?
-
김수환;
유성은;
충북대학교;
충북대학교;
(인지행동치료,
v.19,
2019,
pp.37-58)
-
909
-
한국판 자해 척도(K-SHI) 타당화 연구
-
김소정;
우성범;
구훈정;
이종선;
한양대학교;
가천대학교;
한신대학교;
강원대학교;
(인지행동치료,
v.19,
2019,
pp.205-228)
-
910
-
한국판 럿거스 알코올 문제 척도(K-RAPI)의 타당화 연구
-
김소정;
권정혜;
한양대학교;
고려대학교;
(인지행동치료,
v.19,
2019,
pp.229-24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