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133건 중 1,000건 출력
, 91/100 페이지
-
901
-
에코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직업의식 변화
-
한상근;
한국직업능력개발원;
(노동연구,
v.39,
2019,
pp.77-104)
-
902
-
직업별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
-
한상근;
한국직업능력개발원;
(노동연구,
v.34,
2017,
pp.5-25)
-
903
-
초등학생 비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다층생존분석 연구
-
김성훈;
한국직업능력개발원;
(인문사회과학연구,
v.0,
2018,
pp.95-116)
-
904
-
그룹홈 내 가상현실 체험형 직업훈련이 지적장애인의 커피숍 주스제조기술에 미치는 효과
-
김영준;
한국직업능력개발원;
(특수·영재교육저널,
v.3,
2016,
pp.15-53)
-
905
-
한국에서의 복지국가와 포퓰리즘: 복지 포퓰리즘론을 넘어서
-
남재욱;
한국직업능력개발원;
(시민과 세계,
v.0,
2019,
pp.41-70)
-
906
-
인문사회예술분야 일자리의 입직요건과 보상
-
박천수;
한국직업능력개발원;
(한국경제포럼,
v.12,
2019,
pp.57-80)
-
907
-
평생학습 활성화와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일ᐨ학습 선순환제도의 모색
-
채창균;
한국직업능력개발원;
(동향과 전망,
v.0,
2020,
pp.253-283)
-
908
-
Labor Market Dualism and the Wage Penalty for Temporary Employment: Evidence on the Interplay of Employment Protection Legislation and Labor Market Institutions from PIAAC Data
-
류기락;
한국직업능력개발원;
(Journal of Asian Sociology,
v.47,
2018,
pp.535-561)
-
909
-
역량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중앙부처의 통일역량 요인 고찰
-
강일규;
한국직업능력개발원;
(한국인사행정학회보,
v.18,
2019,
pp.37-65)
-
910
-
독일 도제교육의 최신 동향을 통해 본 한국 도제교육 제도의 시사점
-
안재영;
한국직업능력개발원;
(직업과 자격 연구,
v.8,
2019,
pp.89-12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