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189건 중 1,000건 출력
, 92/100 페이지
-
911
-
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PBL(Project Based Learning)교육설계 - K대학 ‘명예옷장’ 사례 중심으로
-
김선아;
구정호;
금오공과대학교;
금오공과대학교;
(Korea Business Review,
v.24,
2020,
pp.173-187)
-
912
-
대학생 학습자의 온라인 예술치료 수업 경험에 대한 분석 연구
-
박진희;
김선아;
한양대학교;
한양대학교;
(조형교육,
v.75,
2020,
pp.167-193)
-
913
-
영어노래 활용 수업이 초등학교 영어 학습부진 학생들의 학습능력과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
-
김선아;
서유진;
문창초등학교;
전주교육대학교;
(교육방법연구,
v.33,
2021,
pp.511-536)
-
914
-
자화상에 나타난 청소년의 자아 인식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
-
박상현;
김선아;
한양대학교;
한양대학교;
(조형교육,
v.0,
2023,
pp.19-46)
-
915
-
계시민교육을 위한 그림책 활용 미술교육에 관한 실행연구: 초등학교 1학년 대상 공감능력 중심으로
-
이선혜;
김선아;
성신초등학교;
한양대학교;
(조형교육,
v.0,
2021,
pp.163-189)
-
916
-
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그림책 활용 미술활동 중심의 세계시민교육 방안 - 초등학교 1학년 대상으로 -
-
이선혜;
김선아;
성신초등학교;
한양대학교;
(미술교육연구논총,
v.67,
2021,
pp.247-280)
-
917
-
자기결정력 향상을 위한 발달장애 청소년 미술교육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
-
이수진;
김선아;
한양대학교;
한양대학교;
(조형교육,
v.0,
2023,
pp.117-145)
-
918
-
디지털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감상경험을 통한 포스트 뮤지엄 개념의 소통 연구 -국립현대미술관 모바일애플리케이션 사용 중심으로-
-
천소영;
김선아;
한양대학교 박물관교육학과 대학원 석사수료;
한양대학교;
(미술교육논총,
v.38,
2024,
pp.135-161)
-
919
-
학예사의 문화 향유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: 피에르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이론을 중심으로
-
김민정;
김선아;
한양대학교;
한양대학교;
(조형교육,
v.92,
2024,
pp.1-26)
-
920
-
Generative AI as a Virtual Conversation Partner in Language Learning
-
서지영;
김선아;
국민대학교;
국민대학교;
(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,
v., 12,
2024,
pp.7-1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