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,812건 중 1,000건 출력
, 93/100 페이지
-
921
-
중국 청대 양칠(洋漆)의 명칭과 제작실태의 시기별 변천
-
팽잠심;
장경희;
한서대학교;
한서대학교;
(동방학,
v.0,
2022,
pp.317-347)
-
922
-
중등공예교육 실태분석 및 개선점 분석: 공예전문가를 대상으로
-
이현양;
구승회;
;
신라대학교;
(예술교육연구,
v.17,
2019,
pp.293-311)
-
923
-
젠더 관점에서 20세기 한국자수 고찰
-
박혜성;
국립현대미술관;
(미술사학연구,
v.320,
2023,
pp.65-98)
-
924.
- 韓國 古新羅 金屬製 裝身具의 製作技法 硏究 : 再現技法을 中心으로
- 남궁영임
-
誠信女子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xⅲ, 171p., 2002
-
925
-
약물-용출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를 위한 EGCG와 디자인 파라미터의 영향에 대한 연구
-
정태곤;
이종호;
이준재;
현승휴;
한동욱;
부산대학교 나노메디컬공학과, BK21 나노융합기술학과;
부산대학교 나노메디컬공학과, BK21 나노융합기술학과;
부산대학교 나노메디컬공학과, BK21 나노융합기술학과;
일본 교토공예섬유대학교, 섬유 및 직물 과학 센터;
부산대학교 나노메디컬공학과, BK21 나노융합기술학과;
(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: th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& Biological Engineering,
v.34,
2013,
pp.111-116)
-
926
-
민들레 씨앗의 상징성에 기반한 장신구 디자인 제안 - 금속 상감 기법을 활용한 본인 작품 중심으로 -
-
지승현;
안순주;
부산대학교 예술대학;
부산대학교;
(한국디자인포럼,
v.26,
2021,
pp.193-204)
-
927.
- 중학교 미술교육에서 염색공예 지도 방안 연구 : 전통문양을 중심으로
- 김지선
-
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53p., 2005
-
928.
- 십장생도의 장생물을 활용한 생활용품 제작 프로그램 개발 연구 : 중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
- 진홍주
-
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xiii, 136 p, 2023
-
929.
- 한국적 버네큘러 디자인의 미래적 가치 연구
- 성신애
-
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ⅵ, 91, 2020
-
930.
- 한국 현대도예의 형태분석에 관한 연구 : 기능성과 심미성의 관계를 중심으로
- 임향수
-
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57p., 198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