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045건 중 1,000건 출력
, 93/100 페이지
-
921
-
20세기 초 창가(唱歌)『한양노래』의 창작 동인과 ‘한양(漢陽)’ 표상의 특징
-
김윤희;
;
(인문과학연구 :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= Studies in humanities,
v.34,
2012,
pp.73-97)
-
922.
- 아이돌 뮤직비디오 표현양식 비교를 통한 한·중 대중문화 특성에 관한 연구
- 쟝뤄란
-
호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xii, 143p, 2024
-
923
-
사회변혁의 중개자로서 기독교인 이미지 연구-이태준 장편소설을 중심으로-
-
;
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17,
pp.355-387)
-
924
-
한국소설 속의 아프리카 - 『인샬라』, 『아프리카의 별』, 『아프리카의 뿔』을 중심으로
-
고인환;
경희대학교;
(한민족문화연구,
v.49,
2015,
pp.507-533)
-
925.
- 《紅樓夢》의 主題와 思想 硏究
- 이광보
-
高麗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vi, 224p., 2001
-
926.
- 노년기 우정으로 가족 밖 새로운 가족 만들기 : 남성 독거노인의 공동체 참여 경험 연구
- 김서현
-
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219, 2017
-
927
-
박근형 연극에 나타난 가족 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적 인식
-
김숙경;
경성대학교;
(한국연극학,
v.1,
2012,
pp.85-125)
-
928.
- 辛夕汀 詩 硏究 : 詩에 나타난 現實認識 硏究
- 이경상
-
湖南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50p., 2007
-
929.
- 일본인의 한국관 변화에 관한 연구 : 한류가 일본에 미친 영향 분석을 중심으로
- 이지은
-
광운대학교, 국내석사,
xi,90 p., 2006
-
930.
- 소설 《61X57》 중한번역 하
- 정명희
-
鮮文大學校 通譯飜譯大學院, 국내석사,
340p., 200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