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62건 중 962건 출력
, 94/97 페이지
-
931.
- 1920년대 한·중 여성 문학의 신여성 담론과 주체 구현양상 연구
- GAO, HAOYUE
-
경희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, 240 p., 2022
-
932.
- 일과 삶의 균형이 행복감과 교사-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
- 나다경
-
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, 74, 2023
-
933
-
1920~1930년대 대구․경북 지역의 문학매체 연구 - 『여명』, 『동성』, 『문원』을 중심으로
-
박용찬;
경북대학교;
(국어교육연구,
v.0,
2022,
pp.229-265)
-
934
-
한국 근대 여성문학의 탄생과 형성 —근대 초기∼식민지기—
-
김양선;
한림대학교;
(개념과 소통,
v.0,
2020,
pp.7-39)
-
935
-
잡지 『청춘(靑春)』 독자투고란의 어문교육사적 연구
-
황혜진;
서울대학교;
(작문연구,
v.0,
2007,
pp.145-172)
-
936.
-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따른 사회적 놀이의 연속적 변화 패턴
- 김순정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x, 66p., 2003
-
937.
- 한·중 近代文學 형성기 崔南善과 周作人의 역할 비교연구
- 조영욱
-
韓國學中央硏究院, 국내박사,
vi, 157 p., 2012
-
938.
- 이해전략을 활용한 유아 그림책 읽기 교수 모형 개발 연구
- 안영길
-
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164, 2017
-
939.
- 가정문해환경 및 디지털 미디어 활동과 유아 읽기흥미의 관계
- 윤리사
-
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78p., 2024
-
940.
-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: 놀이교수효능감을 매개효과로
- 이나연
-
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, 국내석사,
v, 111 p., 202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