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304건 중 1,000건 출력
, 94/100 페이지
-
931
-
도시환경조형에 관한 연구 - 건축물의 실내외 도자벽화를 중심으로-
-
조준희;
한양대학교;
(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,
v.9,
2003,
pp.1-12)
-
932
-
중앙아시아 고대 암각화와 고구려 고분벽화의 주제 및 양식 비교 연구
-
장석호;
동북아역사재단;
(중앙아시아연구,
v.15,
2010,
pp.299-326)
-
933
-
연화문으로 본 고령 고아동 대가야 벽화고분의 추가장 시기 검토
-
조원창;
한얼문화유산연구원;
(백제문화,
v.0,
2008,
pp.33-51)
-
934
-
‘거주함’의 철학적 지평―하이데거의 사유와 고구려의 고분벽화를 중심으로
-
윤병렬;
안양대학교;
(현대유럽철학연구,
v.0,
2005,
pp.5-24)
-
935
-
우스트루샤나 칼라이 칵카하 I구역의 벽화와 에프탈계 도검
-
카게야마 에츠코;
간사이대학 동서학술연구소;
(중앙아시아연구,
v.19,
2014,
pp.119-132)
-
936
-
사마르칸드 아프라시압 궁전벽화복식의 문양 특성 -연주문을 중심으로-
-
박춘순;
이자연;
충남대학교;
신라대학교;
(한국의류산업학회지,
v.4,
2002,
pp.437-443)
-
937.
- 통일교육을 위한 중학교 미술과 교수학습 지도방안 : 평화감수성을 중심으로
- 이영주
-
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v, 130 p., 2020
-
938
-
트러블(1968-1998) 시기 북아일랜드 벽화에 표명된 두 개의 민족-종파적 정체성
-
이민아;
서울대학교;
(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,
v.0,
2021,
pp.137-162)
-
939.
- 高句麗 古墳壁畵 內 女人들의 머리모양 再現을 위한 일러스트레이션
- 이향숙
-
漢城大學校 藝術大學院, 국내석사,
ix, 111 p., 2009
-
940
-
고구려 고분벽화 회벽체의 재료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- 진파리 4호분의 회벽체를 중심으로 -
-
임권웅;
고구려발해학회;
(동북아역사논총,
v.0,
2009,
pp.203-23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