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,234건 중 1,000건 출력
, 95/100 페이지
-
941
-
임실 하가 구석기유적의 돌날제작기법 연구
-
정보현;
라드피온;
(한국구석기학보,
v.1,
2022,
pp.28-64)
-
942.
- 1980년대 이후 북한의 구석기고고학 연구동향과 배경 연구
- 장기재
-
전북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ⅲ, 90 p., 2012
-
943
-
지방자치단체의 장소 기반 지역축제에 나타난 장소성 분석 - 연천전곡리구석기 축제를 중심으로
-
김민주;
동양대학교 공공인재학부 교수.;
(인문사회과학연구,
v.23,
2022,
pp.397-434)
-
944
-
磨製石器 使用痕分析의 現況과 韓國에서의 展望
-
손준호;
한국고고환경연구소;
(호남고고학보,
v.21,
2005,
pp.51-71)
-
945
-
東北地方石器時代遺跡調査豫報 : 特に津輕地方に就て
-
;
;
(人類學雜誌 = The Journal of the Anthropological Society of Nippon,
v.44,
1929,
pp.107-123)
-
946
-
日本石器時代人民の紋様とアイヌの紋様に就て
-
;
;
(東京人類學會雜誌 = The journal of the Anthropological Society of Tokyo,
v.19,
1903,
pp.83-87_1)
-
947
-
諏訪湖底の石器と湖上生活論と土地の陷没?
-
;
;
(東京人類學會雜誌 = The journal of the Anthropological Society of Tokyo,
v.24,
1909,
pp.479-481)
-
948
-
전곡리 구석기 유적 절대연대측정의 현황 및 제언
-
김명진;
김은정;
정봉구;
라드피온 고고과학연구소;
라드피온 고고과학연구소;
라드피온 고고과학연구소;
(한국구석기학보,
v.1,
2021,
pp.5-39)
-
949
-
컬포츠를 통한 구석기시대 접합석기 퍼즐의 교육적 활용
-
이상석;
김선영;
이헌종;
국립나주박물관;
목포대학교;
목포대학교;
(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,
v.7,
2018,
pp.129-155)
-
950
-
蓝宝石基光色可调荧光玻璃陶瓷的发光性能
-
Hou Hailan, 侯海兰
;
Liu Chuanlong, 刘
传
龙
;
Liu Fangsong, 刘
方凇
;
Long Linfang, 龙
林芳;
Li Jingwen, 李静
雯;
Xia Libin, 夏李斌;
;
(中國激光 = Chinese journal of lasers,
v.50,
2023,
pp.100300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