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,004건 중 1,000건 출력
, 96/100 페이지
-
951
-
경제적 양극화와 자살의 상관성: 1997년 외환위기를 전후하여
-
은기수;
서울대 국제대학원;
(한국인구학 =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,
v.28,
2005,
pp.97-129)
-
952.
- 글로벌 금융위기와 국가 대응의 다양성 : 한국, 미국, 일본, 스페인을 중심으로
- 황인표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12 p., 2009
-
953
-
사회적 재생산을 통해 본 발전국가의 재해석
-
이진옥;
;
(여성학연구,
v.22,
2012,
pp.73-101)
-
954
-
글로벌 경제위기가 한국의 경제구조에 미친 단기영향과 경기회복 매커니즘 분석
-
김봉근;
윤상철;
서울대학교;
단국대학교;
(경제연구,
v.28,
2010,
pp.1-25)
-
955
-
세계금융위기 이후 경제학 이론 및 방법론 논쟁 : 교훈과 정책적 함의
-
이왕휘;
아주대학교;
(한국경제의 분석,
v.20,
2014,
pp.47-122)
-
956
-
독일과 프랑스의 유럽통화동맹(EMU) 위기 해법에 대한 입장과 경제 패러다임
-
박진호;
한국은행;
(EU학 연구,
v.17,
2012,
pp.5-50)
-
957
-
경제위기이후 노동시간의 유연화에 따른 일상 및 여가 시간표의 변화
-
김영선;
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;
(여가학연구,
v.6,
2008,
pp.101-120)
-
958
-
라틴아메리카 경제 위기와 가톨릭교회: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교회의 비교 분석
-
김항섭;
한신대학교;
(종교연구,
v.0,
2005,
pp.211-242)
-
959
-
IMF 경제위기 이후 노동과정의 변화: 영남지역 금속산업의 사례와 함의
-
강신준;
동아대학교;
(산업노동연구,
v.9,
2003,
pp.163-186)
-
960
-
주요 OECD 국가의 세출구조조정 행태 분석: 글로벌 경제위기 전후 기간을 중심으로
-
박승준;
도기현;
대구대학교;
한국노동연구원;
(의정논총,
v.13,
2018,
pp.5-4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