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131건 중 1,000건 출력
, 96/100 페이지
-
951.
- 한국 근대 피리 음악 연구
- 박지영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xi, 207 p., 2024
-
952
-
건국 초기 동북 조선족의 혁명서사와국가적 정체성의 확립 ― 김학철의 『해란강아 말하라』를 중심으로
-
이해영;
中國海洋大學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20,
pp.393-422)
-
953
-
民衆スポーツ史の可能性:伝統と近代を問う
-
Kozu, Masaru;
こども教
育宝
仙大学
こども教
育学
部;
(體育學硏究 = Jap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, health and sport sciences,
v.55,
2010,
pp.313-332)
-
954
-
한국 대하소설에 나타난 ‘해방 인식’ 연구 - 『북간도』, 『토지』, 『아리랑』을 중심으로 -
-
박은정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세계문학비교연구,
v.0,
2020,
pp.5-25)
-
955.
- 중국의 민주화 가능성에 대한 연구
- 박기춘
-
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92 p., 2010
-
956.
- 한국과 중국의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비교연구
- 곽신로
-
신한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201, 2021
-
957
-
수운 최제우와 홍암 나철의 영웅신화적 요소에 대한 비교연구
-
조성두;
원광대학교;
(신종교연구,
v.31,
2014,
pp.179-216)
-
958.
- 戰後 日本의 歷史敎育 政策과 歷史敎育者協議會의 批判 活動
- 구경남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i, 209 p., 2009
-
959.
- 한국과 일본의 초등 사회과 교과서의 러일전쟁 서술 비교
- 서인애
-
서울교육대학교, 국내석사,
viii, 86 p., 2016
-
960
-
소세키 후기소설 속의 과학과 미신
-
윤혜영;
충남대학교;
(일어일문학,
v.0,
2013,
pp.333-34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