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,334건 중 1,000건 출력
, 96/100 페이지
-
951
-
시조 <샌량쓰 불상을 보고>와 신채호의 내면 -샌량쓰, 전단불상, 눈물-
-
도진순;
창원대학교;
(한국독립운동사연구,
v.0,
2020,
pp.127-151)
-
952
-
조선후기 '님' 담론의 특성과 그 의미 : 사설시조와 잡가를 중심으로
-
신은경;
우석대 국어국문학과;
(時調學論叢 = The Korean essays on Sijo literary science,
v.20,
2004,
pp.113-139)
-
953
-
시조의 지평을 넓히는 부단한 상상력
-
박몽구;
;
(시조시학 = Poetics & Sijo,
v.41,
2011,
pp.182-197)
-
954
-
성씨시조담의 전승과 이해 지평
-
서해숙;
전남대학교;
(남도민속연구,
v.0,
2008,
pp.191-222)
-
955.
- 연시조에 대한 교육방안 연구 : 〈어부사시사〉를 중심으로
- 하경화
-
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ⅳ, 76p., 2002
-
956
-
강용흘의 英譯時調에 관한 연구
-
신은경;
우석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16,
2012,
pp.163-189)
-
957
-
The Buddhist worldview of the poet Jeong Wanyeong
-
Kwon, Sung-Hun;
;
(時調學論叢 = The Korean essays on Sijo literary science,
v.51,
2019,
pp.95-120)
-
958
-
훈민가계 시조의 일표현
-
윤영옥;
;
(嶺南 語文學,
v.9,
1982,
pp.113-122)
-
959.
- <오우가>를 활용하는 시조 교육 방법 연구
- 김휘정
-
부산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, 43 장, 2014
-
960
-
시조 감상 교육에서 학습자의 감각 체험 양상 연구: <오우가>를 중심으로
-
이루리;
도곡중학교;
(국어교육연구,
v.0,
2023,
pp.179-22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