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2,009건 중 1,000건 출력
, 96/100 페이지
-
951
-
연극평론가라는 실재―김방옥, 『미학적 연극에서 올바름의 연극으로』 (연극과인간, 2022)
-
김민관;
아트신 편집장;
(한국극예술연구,
v.0,
2022,
pp.176-188)
-
952
-
연극평론가라는 실재―김방옥, 『미학적 연극에서 올바름의 연극으로』 (연극과인간, 2022)
-
김민관;
아트신 편집장;
(한국극예술연구,
v.0,
2022,
pp.177-189)
-
953
-
Storytelling을 기반으로 한 즉흥연극, 플레이백 씨어터(Playback Theatre) 연구
-
정성희;
성균관대학교 연기예술과;
(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=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,
v.17,
2017,
pp.532-540)
-
954.
- 『푸른수염』이야기의 연극치료적 활용에 관한 연구
- 황대연
-
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, 국내석사,
93 p., 2015
-
955
-
미래연극의 성향
-
김성빈;
;
(새국어교육,
v.0,
2007,
pp.635-668)
-
956
-
한국어 연극 은유
-
임혜원;
상명대학교;
(담화와 인지,
v.14,
2007,
pp.193-215)
-
957.
- 동시대 연극에서의 사운드 연출 효과
- 윤혜숙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86 p., 2020
-
958
-
영화『도그빌』의 연극적 기법과 도덕적 비판
-
김민경;
;
(신영어영문학 = The New studies of english language & literature,
v.49,
2011,
pp.29-48)
-
959
-
農樂隊 잡색놀이의 演劇性과 祭儀性
-
朴鎭泰;
;
(韓國民俗學= The Korean folklore,
v.29,
1997,
pp.459-484)
-
960
-
미들튼의 를 통해 본 마술의 연극적 재현
-
Pilsook Huh,;
;
(드라마연구 = The Journal of drama,
v.57,
2019,
pp.119-14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