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8,178건 중 1,000건 출력
, 96/100 페이지
-
951
-
한국 내 인도네시아 이주민 공동체 다문화지도
-
허창수;
;
(교육인류학연구,
v.12,
2009,
pp.137-169)
-
952
-
발달장애형제를 둔 대학생의 아동기 경험 및 미래 진로에 대한 이야기
-
이미숙;
공주대학교;
(교육인류학연구,
v.22,
2019,
pp.29-58)
-
953
-
초등학교 교실 문화 형성에 관한 질적 탐구
-
정광순;
정수현;
;
(교육인류학연구,
v.13,
2010,
pp.1-28)
-
954
-
지리적 경계와 문화적 상상력, 그리고 학교 교육과정: 미국 사회과 수업의 ‘아시아’를 중심으로
-
홍원표;
;
(교육인류학연구,
v.12,
2009,
pp.145-172)
-
955
-
상담에서의 실존적 관계 맺음 과정에 대한 고찰
-
김소연;
김봉환;
;
(교육인류학연구,
v.16,
2013,
pp.129-173)
-
956
-
다문화교육 질적 연구의 동향과 과제
-
박윤경;
박선운;
청주교육대학교;
서울대학교;
(교육인류학연구,
v.24,
2021,
pp.39-63)
-
957
-
유아 교실 속 디지털 사진이 구성하는 다양하고 예측 불가능한 관계와 의미: 행위자-네트워크 이론 중심으로
-
Dong, Pool Ip;
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Graduate School;
(교육인류학연구,
v.22,
2019,
pp.173-198)
-
958
-
과학기술계 박사후 연구원(Post-doc.)의 생활 경험과 정체성
-
남미자;
;
(교육인류학연구,
v.18,
2015,
pp.121-153)
-
959
-
벤야민의 <아케이드 프로젝트>를 통해 본 집단적 각성으로서의 교육
-
김영철;
;
(교육인류학연구,
v.12,
2009,
pp.27-64)
-
960
-
김기덕 영화 <빈집>에 나타난 대항-현행화로서의 교육
-
김영철;
;
(교육인류학연구,
v.15,
2012,
pp.153-17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