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,784건 중 1,000건 출력
, 97/100 페이지
-
961
-
백제 금제구슬의 형태 구분과 금순도 비교
-
김성곤;
김은아;
김규호;
국립중앙박물관;
공주대학교;
공주대학교;
(백제학보,
v.0,
2022,
pp.153-169)
-
962
-
충남 마을 기행 - 백제문화와 농촌 체험이 공존하는 부여기와마을
-
정봉희;
충남발전연구원 홍보팀;
(열린충남= The Chungnam review,
v.58,
2012,
pp.40-45)
-
963
-
경기도 여주군 하거리 방미기골 백제 석실분에서 산출된 포자, 화분분석
-
이상헌;
강봉원;
윤혜수;
;
(고생물학회지 = Journal of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,
v.15,
1999,
pp.145-158)
-
964
-
경주 출토 백제계 기와 제작기술의 도입과정 - 傳 흥륜사지 출토품을 중심으로
-
李炳鎬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69,
2013,
pp.5-56)
-
965
-
Wars and Territory Changes of Baekje and Goguryeo in the Ungjin Period
-
Kim, Young-Kwan;
;
(韓國古代史探究= Sogang journal of early Korean history,
v.34,
2020,
pp.247-277)
-
966.
- 백제시대의 백마강의 하천공학적 특성과 활용에 관한 고찰
- 김성식
-
대전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60 p., 2013
-
967.
- 백제관광문화상품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 : 공주 · 부여를 중심으로
- 박노필
-
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52장, 2014
-
968
-
백제문화권 전통제전의 관광상품화 방안 연구
-
김정수;
이걸재;
건양대학교;
건양대학교;
(한국외식산업학회지,
v.12,
2016,
pp.115-126)
-
969
-
백제 사비기 투공토기의 용도와 출토 의미
-
서현주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(백제학보,
v.0,
2021,
pp.85-111)
-
970
-
백제의 마한 병합 시기 연구 동향 및 쟁점
-
김기섭;
국립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;
(한국고대사연구,
v.0,
2024,
pp.299-33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