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,334건 중 1,000건 출력
, 97/100 페이지
-
961
-
강용흘의 英譯時調에 관한 연구
-
신은경;
우석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16,
2012,
pp.163-189)
-
962
-
The Buddhist worldview of the poet Jeong Wanyeong
-
Kwon, Sung-Hun;
;
(時調學論叢 = The Korean essays on Sijo literary science,
v.51,
2019,
pp.95-120)
-
963
-
훈민가계 시조의 일표현
-
윤영옥;
;
(嶺南 語文學,
v.9,
1982,
pp.113-122)
-
964
-
게일의 미출판 영역 시조의 계보학적 위상 고찰-번역의 양상을 중심으로
-
강혜정;
고려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22,
pp.35-62)
-
965.
- 創意的 裁量活動 運營을 통한 時調 敎育 硏究 : 初等學校 3學年을 中心으로
- 최은남
-
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i,120p., 2003
-
966.
- <오우가>를 활용하는 시조 교육 방법 연구
- 김휘정
-
부산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, 43 장, 2014
-
967
-
시조 감상 교육에서 학습자의 감각 체험 양상 연구: <오우가>를 중심으로
-
이루리;
도곡중학교;
(국어교육연구,
v.0,
2023,
pp.179-223)
-
968
-
한국의 시조를 통해 본 쮸체프의 자연시
-
이수연;
;
(슬라브 학보,
v.19,
2004,
pp.473-493)
-
969
-
한국 도시 상징의 분석 -시가, 시조, 시목, 시화를 중심으로-
-
황홍섭;
부산교육대학교 사회교육과;
(한국지역지리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,
v.3,
1997,
pp.227-253)
-
970
-
가람・조운・조남령 삼인시조집 발견의 의의 -미발표 시집『現代時調三人集』을 중심으로-
-
이경애;
전북대학교;
(열린정신 인문학 연구,
v.19,
2018,
pp.83-11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