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6,894건 중 1,000건 출력
, 98/100 페이지
-
971
-
속삭이는 목소리로서의 '대동강'과 어머니 형상의 두 얼굴 -김동인 소설의 정신분석적 읽기 시론(試論)-
-
권희철;
서울대학교;
(한국근대문학연구,
v.1,
2008,
pp.223-256)
-
972
-
야담잡지를 통한 역사소설가로서의 김동인 재조명: 일제강점기 단군 소설화 양상과 관련하여
-
이민희;
고려대학교;
(비교문학,
v.0,
2012,
pp.181-210)
-
973
-
⟨김현감호설화(金現感虎 說話)⟩의 소설적 변용 연구 - 김동리의 ⟨호원사기(虎願寺記)⟩를 중심으로
-
방민화;
숭실대학교;
(문학과 종교,
v.14,
2009,
pp.43-63)
-
974
-
한국에서의 『근대의 연애관(近代の然愛觀)』수용의 양상 ─김동인의 『김연실전(金妍實傳)』을 중심으로─
-
이승신;
고려대학교;
(일본학보,
v.0,
2008,
pp.271-280)
-
975
-
마이클 에이더스, 김동광 옮김, 기계, 인간의 척도가 되다: 과학, 기술, 그리고 서양 우위의 이데올로기 (산처럼, 2011)
-
이정;
한양대학교;
(한국과학사학회지,
v.36,
2014,
pp.439-443)
-
976
-
김동인 소설의 나쓰메 소세키(夏目漱石) 소설 수용 연구 -⟨마음이 여튼 자여⟩와 ⟨마음こころ>을 중심으로-
-
조경덕;
상명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13,
pp.355-377)
-
977
-
1910년대 소설에 나타난 가정교사 형상 연구-이광수 『무정』(1917)과 김동인 「약한 자의 슬픔」(1919)을 중심으로
-
허예슬;
성균관대학교;
(구보학보,
v.0,
2024,
pp.199-226)
-
978
-
김동인 소설의 정전화에 관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―‘회고(回顧)’에서 교육장(敎育場)으로의 진입까지―
-
문영진;
성균관대학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06,
pp.167-198)
-
979
-
한국문학의 번역본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감상 양상 - 김동인의 ⟨배따라기⟩ 번역본, ⟨船歌⟩를 중심으로 -
-
김지혜;
윤영집;
극동대학교;
YH한중문화컨텐츠개발;
(한중인문학연구,
v.0,
2021,
pp.1-26)
-
980
-
1950년대 문학비평의 세계주의와 미국적 가치 지향의 상관성- 김동리의 세계문학 논의를 중심으로
-
이은주;
이화여자대학교;
(상허학보,
v.18,
2006,
pp.9-3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