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,784건 중 1,000건 출력
, 98/100 페이지
-
971
-
특집논문 : 백제 웅진시대의 재검토 ; 백제 웅진시대 발굴 문화재의 보존과학 현황과 과제
-
김규호;
공주대학교;
(백제문화,
v.0,
2005,
pp.203-213)
-
972
-
백제 벽주건물의 구조적 특징과 고고학적 해석
-
강소희;
국립전주박물관;
(백제연구,
v.0,
2024,
pp.127-162)
-
973
-
A study on the comparison of Baekje style stone pagoda and stone brick pagoda
-
Jun, Ji-Hye;
;
(지역과 역사 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50,
2022,
pp.233-269)
-
974.
-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관광 활성화 방안 : 백제문화단지를 중심으로
- 최단아
-
성균관대학교, 국내석사,
vi, 71 p., 2018
-
975
-
백제이식의 조형성연구 - 삼국시대 이식의 조형 특성비교를 통하여 -
-
이혜영;
조선대학교;
(한국디자인포럼,
v.0,
2008,
pp.211-221)
-
976
-
New materials that would shed light on activities of Baekje Buyeo Pung’s Descendants - The Jo In-bon and Madame Buyeo Couple’s Tomb Epitaph -
-
Jang, Byung-jin;
;
(역사와 현실,
v.123,
2022,
pp.225-263)
-
977
-
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 - 송파구 한성백제 역사문화자원을 중심으로
-
최단아;
김면;
성균관대학교 예술학협동과정;
성균관대학교 예술대학 디자인학과;
(문화와 융합 = Culture and convergence,
v.39,
2017,
pp.61-92)
-
978
-
금강유역 백제 교통로와 거점 사찰의 입지적 특징
-
소재윤;
국립문화재연구원;
(백제학보,
v.0,
2023,
pp.33-57)
-
979
-
고구려・부여계 유이민의 남하와 백제 부여씨의 등장
-
조영광;
국사편찬위원회;
(선사와 고대,
v.0,
2017,
pp.169-194)
-
980
-
'실크로드피아(Silkroadpia)'의 활용과 문화유산의 창출 - 백제부흥운동의 경로복원을 중심으로
-
조대연;
전북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;
(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: JCCT = 문화기술의 융합,
v.6,
2020,
pp.343-35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