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304건 중 1,000건 출력
, 98/100 페이지
-
971
-
호노리오 3세의 오라토리오의 벽화에 나타나는 13세기 초 로마 미술의 양식적 다양성
-
고한나;
독립연구자;
(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,
v.0,
2022,
pp.7-34)
-
972
-
V. 바스네초프(Васнецов) 이콘화(иконопись)의 전통성: 키예프 블라디미르 성당 벽화를 중심으로
-
이규영;
경기대학교;
(슬라브硏究,
v.39,
2023,
pp.155-175)
-
973
-
한국 미술에 호명된 고구려 고분벽화-해방 이후-1970년대의 전개 양상을 중심으로-
-
송희경;
고려대학교;
(한국문화연구,
v.38,
2020,
pp.43-73)
-
974.
- 프레스코에 대한 고찰과 현대적 응용 연구
- 선우항
-
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ⅴ, 105 p., 2010
-
975
-
문화예술특화거리의 디자인 특성 분석과 방문자 반응에 관한 연구 - 문래동 철강거리, 이화동 벽화마을, 강풀만화거리를 사례로 -
-
이선미;
장영호;
서울특별시 디자인정책과;
서울특별시 공공디자인팀;
(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,
v.15,
2016,
pp.45-57)
-
976
-
역행(逆行)의 정치―한국의 노동미술 (1987-1994)―
-
서유리;
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22,
pp.337-382)
-
977
-
고구려 고분벽화로부터 비롯된 인식 확대의 값진 성취 - 『전호태, 화상석 속의 신화와 역사』(소와당, 2009)
-
정재서;
이화여자대학교;
(역사와경계,
v.0,
2009,
pp.291-297)
-
978
-
상징적 이미지의 구조와 생성에 관한 연구 - 고구려 고분벽화 남신·여신 이미지를 중심으로 -
-
고재성;
안동대학교;
(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,
v.16,
2010,
pp.13-22)
-
979.
- 거룩한 공간과 시각예술 : 기원후 3세기 중엽 두라 에우로포스(Dura Europos)의 네 종교 비교연구
- 김한윤
-
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x, 263 p., 2015
-
980
-
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단군 인식 검토-한국 고대 동물숭배전통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-
-
조법종;
우석대학교;
(고조선단군학,
v.12,
2005,
pp.361-38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