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6,894건 중 1,000건 출력
, 99/100 페이지
-
981
-
종교적 초월성의 표현 형식으로서의 소설의 가능성 - 김동리의 「무녀도」와 모리악의 「떼레즈 데스께루」에 대한 비교문학적 고찰을 중심으로
-
정장진;
고려대학교;
(비교문학,
v.0,
2008,
pp.69-108)
-
982.
- 호남우도농악 담양굿의 전승과 활용
- 이수현
-
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, 국내석사,
VI, 67장, 2022
-
983
-
비유 언어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접근-‘어휘’에서 ‘담화’까지- - Barbara DancygierㆍEve Sweetser, 임지룡ㆍ김동환 역, ⟨비유 언어-인지언어학적 탐색⟩, 한국문화사, 2015. -
-
남길임;
경북대학교;
(어문론총,
v.0,
2016,
pp.457-462)
-
984
-
한국형 능력주의의 정치역사적 재구성 김동춘, 『시험능력주의: 한국형 능력주의는 어떻게 불평등을 강화하는가』 (창비, 2022)
-
최율;
중앙대학교;
(경제와 사회,
v.0,
2023,
pp.245-250)
-
985
-
대한제국을 어떻게 보아야 하나 : 김동노ㆍ던컨(John B. Duncan)ㆍ김도형 공편, 2006《대한제국의 개혁과 근대화(Reform and Modernity in the Taehan Empire)》 (Jimoondang) ; 한영우 등 저, 2006《대한제국은 근대국가인가》 (푸른역사)
-
허동현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2007,
2007,
pp.247-257)
-
986.
- 「모밀꽃 필 무렵」과 「역마」비교 연구 : 두 작품에 내포된 근대성을 중심으로
- 민태홍
-
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v, 69장, 2005
-
987
-
홈권호 목록논문 목록논문 상세 「국경의 밤」과 「지새는 밤」의 상호텍스트성
-
송영순;
상지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 = Jorunal of Korean literary criticism,
v.42,
2013,
pp.247-274)
-
988
-
저항과 모색을 통한 자아의 완성 - 염상섭의 「제야」, 김동인의 「눈을 겨우 뜰 때」에 나타난 죽음을 중심으로 -
-
신영미;
인하대학교 대학원;
(한국학연구,
v.0,
2009,
pp.113-139)
-
989
-
Ontology 기반의 Feature-Class 변환 기법
-
김동리;
송치양;
백두권;
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;
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;
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;
(한국정보과학회 07 추계 학술발표논문집(B),
v.2007,
2007,
pp.50-54)
-
990
-
온톨로지를 이용한 Feature - OWL 모델 변환기법
-
김동리;
송치양;
백두권;
고려대학교 정보통신대학 컴퓨터.전파통신공학과;
경북대학교 컴퓨터공학과;
고려대학교 정보통신대학 컴퓨터.전파통신공학과;
(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제29회 춘계학술발표대회,
v.2008,
2008,
pp.249-25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