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,784건 중 1,000건 출력
, 99/100 페이지
-
981
-
금강유역 백제 교통로와 거점 사찰의 입지적 특징
-
소재윤;
국립문화재연구원;
(백제학보,
v.0,
2023,
pp.33-57)
-
982
-
경주 출토 백제계 기와 제작기술의 도입과정 - 傳 흥륜사지 출토품을 중심으로
-
李炳鎬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69,
2013,
pp.5-56)
-
983
-
5세기 백제 광형철모의 성격과 상징적 의미
-
한지민;
한국학중앙연구원;
(백제연구,
v.0,
2025,
pp.25-54)
-
984
-
영산강 상류지역의 취락변동과 백제화 과정
-
이영철;
대한문화유산연구센터;
(백제학보,
v.0,
2011,
pp.107-140)
-
985
-
2017년 호서지역 마한·백제 고고학 조사·연구 성과와 과제
-
조아영;
성정용;
한국매장문화재협회;
충북대학교;
(백제학보,
v.0,
2018,
pp.91-128)
-
986
-
백제 中方城의 설치와 고부지역의 통치양상
-
김영심;
한성백제박물관;
(마한백제문화,
v.33,
2019,
pp.5-38)
-
987
-
백제 웅진 도성기의 지형경관
-
이홍종;
안형기;
조보람;
고려대학교;
한국고고환경연구소;
한국고고환경연구소;
(백제문화,
v.0,
2019,
pp.91-119)
-
988
-
'실크로드피아(Silkroadpia)'의 활용과 문화유산의 창출 - 백제부흥운동의 경로복원을 중심으로
-
조대연;
전북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;
(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: JCCT = 문화기술의 융합,
v.6,
2020,
pp.343-350)
-
989
-
백제문화제의 역사적 변천과정과 주요 성과분석, 뉴거버넌스 증대방안
-
최종호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(한국전통문화연구,
v.0,
2019,
pp.7-36)
-
990
-
長壽王代 高句麗의 對北魏外交와 百濟
-
박진숙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36,
2004,
pp.195-22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