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304건 중 1,000건 출력
, 99/100 페이지
-
981
-
古代의 譯人 - 덕흥리 벽화고분 ⟨太守來朝圖⟩의 여성 통역관의 발견과 관련하여 -
-
정승혜;
수원여자대학교;
(木簡과 文字,
v.0,
2017,
pp.169-186)
-
982
-
고구려 弓矢文化에 대한 試論 2 - “弓矢圖”를 중심으로
-
정경일;
;
(中央史論,
v.36,
2012,
pp.5-25)
-
983
-
1910-1920년대 식민지 시대의 벽화: 전통과 근대, 공공성과 예술의 담론 사이에서
-
서윤정;
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;
(인문과학연구논총,
v.40,
2019,
pp.13-42)
-
984
-
高句麗壁畵古墳에 나타난 信仰과 祭儀양상
-
정호섭;
;
(古文化 = Korean antiquity,
v.2009,
2009,
pp.83-114)
-
985.
- 고구려 雙楹塚壁畵 顔料의 연구
- 정은영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53p., 2003
-
986
-
미술 콘텐츠로 시작된 ‘벽화마을 수암골’의 메타버스 활용에 관한 연구 - 미술 콘텐츠를 중심으로 -
-
이주영;
충남대학교 예술대학;
(인문학연구,
v.61,
2022,
pp.253-273)
-
987
-
고구려 고분 벽화와 금단(金丹) 도교의 세계관 - 오회분4호묘와 강서대묘를 중심으로 -
-
김윤경;
인천대학교;
(사회와 철학,
v.0,
2020,
pp.147-168)
-
988
-
토벽화 균열부 보강에 사용되는 충전제 적용 연구
-
이경민;
이화수;
한경순;
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건국대학교;
(보존과학회지 =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,
v.29,
2013,
pp.395-406)
-
989
-
중국 북조(北朝) 고분벽화를 통해 본 진파리 1・4호분과 강서중・대묘의 양식적 특징
-
정병모;
경주대학교;
(강좌미술사,
v.0,
2013,
pp.313-334)
-
990
-
4-5세기 고구려와 중국 고분벽화의 묘주 표현에 보이는 문화적 포용성에 대하여
-
박아림;
숙명여자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60,
2018,
pp.253-28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