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407건 중 1,000건 출력
, 99/100 페이지
-
981
-
박봉우 시의 공간 구조와 타자의식 고찰
-
신진숙;
경희대학교;
(比較文化硏究,
v.13,
2009,
pp.75-100)
-
982.
- (A) Study on literary criticism of the 1960s
- 강소연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 243p., 2004
-
983.
- 박경리 초기 소설에 나타난 감정의 양상과 젠더 전략
- 석희진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00 p., 2022
-
984
-
역사적 트라우마와 기억 투쟁 - 사키야마 다미 『달은, 아니다』를 중심으로 -
-
조정민;
부산대학교;
(日本思想,
v.0,
2016,
pp.265-292)
-
985.
- 李範宣 小說 硏究 : 作品의 象徵構造를 통해 본 作家 意識
- 한경옥
-
全南大學校, 국내석사,
iii,91장, 1996
-
986.
- 동요하는 법 : 프리드리히 뒤렌마트Friedrich Duerrenmatt의 문학에서 재현된 사법 신화 연구
- 허정은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97 p, 2010
-
987
-
해방 전후 ‘유령인구’의 존재론
-
한민주;
홍익대학교;
(사이間SAI,
v.0,
2014,
pp.123-151)
-
988
-
고석규 비평의 문체론 연구 - 1950년대 문체론의 맥락에서 -
-
박현익;
오산대학교;
(어문논집,
v.0,
2024,
pp.263-286)
-
989
-
일본근대문학에 나타난 ‘죽음’의 형상화 ‒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작품을 중심으로‒
-
김순희;
창원대학교;
(일본근대학연구,
v.0,
2022,
pp.89-108)
-
990
-
국문학 내 문학사회학과 멀리서 읽기*― 새로운 검열연구를 위한 길마중
-
이재연;
정유경;
울산과학기술원;
한남대학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20,
pp.295-33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