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,555건 중 1,000건 출력
, 99/100 페이지
-
981
-
다문화 치안활동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: 부산 지역의 다문화 구성원을 중심으로
-
이병문;
이효민;
부산지방경찰청;
영산대학교;
(한국경찰학회보,
v.16,
2014,
pp.101-120)
-
982.
- 공유공간 활성화를 통한 마을공동체 계획안 : 북가좌 제4주택 재건축 사업 해제 지역을 중심으로
- 박대선
-
경기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ⅹ, 106 p., 2018
-
983
-
지역공동체의 사회복지를 지원하는 적정기술- 캄보디아의 먹는 물 정수용 필터 보급활동 사례고찰 -
-
김형태;
김형태;
고명순;
한국세라믹기술원;
서울기독대학교;
서울기독대학교;
(적정기술학회지(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),
v.3,
2017,
pp.59-65)
-
984
-
지역응급의료 재난관리공동체 형성을 위한 파트너십 연구 - 재난관리 참여기관을 중심으로 -
-
김유호;
충북대학교;
(Crisisonomy,
v.7,
2011,
pp.153-170)
-
985
-
도시재개발(都市更新)과 지역공동체 - 대만 타이베이 국제 예술촌 바오짱옌(寶藏巖) 사례
-
이응철;
덕성여자대학교;
(중국학연구,
v.0,
2016,
pp.253-274)
-
986
-
외국인 유학생과 내국인 간의 상호 교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- 상호문화 정체성 신장과 지역 사회의 다중문화 공동체 구축을 중심으로
-
한하림;
한밭대학교;
(문화와융합,
v.44,
2022,
pp.627-639)
-
987
-
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한 지역공동체의 역할과 과제: 충청북도 괴산군 사례를 중심으로
-
오윤경;
최현선;
이은지;
김재현;
한국행정연구원;
명지대학교;
명지대학교;
건국대학교;
(농촌사회,
v.23,
2013,
pp.141-172)
-
988
-
산업화 시기 제주로 이주한 전라도 사람들의 지역 적응 전략으로서 지연공동체 형성과 변화
-
염미경;
제주대학교;
(용봉인문논총,
v.0,
2021,
pp.43-76)
-
989
-
골프장 이용 고객의 만족도와 고객행동의도, 도시이미지 및 지역공동체의식의 관계
-
박장진;
송원대학교;
(한국스포츠학회,
v.17,
2019,
pp.417-426)
-
990
-
점령기 GHQ에 의한 지역공동체 인식과 재편 - 조나이카이(町内会)를 중심으로 -
-
김혜숙;
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;
(비교일본학,
v.56,
2022,
pp.1-2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