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日本学校武道教育の変遷に関する研究
-
;
;
(일본어문학,
v.0,
2003,
pp.431-456)
-
2
-
戦後の「保健体育」が定義する「健康な身体」 -「性教育」「純潔教育」から -
-
松元実環;
神戸大学大学院;
(차세대 인문사회연구,
v.0,
2024,
pp.155-180)
-
3
-
재일조선인에 대한 오사카 공립학교의 민족교육운동과 문학교육
-
유승창;
목포대학교;
(日本文化學報,
v.0,
2014,
pp.243-261)
-
4.
- 재한일본인(在韓日本人) 2세의 한국인식 : 모리타 요시오(森田芳夫)를 중심으로
- 정유석
-
영남대학교, 국내석사,
65 p., 2019
-
5.
- 일본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의 재일코리안과 조선학교에 관한 연구
- 미조카미 하나에
-
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, 국내석사,
vii, 143 p., 2024
-
6.
- 日本人의 朝鮮史 認識에 관한 硏究 : 壬辰·丁酉再亂 及び獨島歪曲問題について
- 남영찬
-
釜山外國語大學校 國際經營·地域學大學院, 국내석사,
iii, 188p., 2007
-
7
-
만주사변 이후 교과서에 나타난 일제의 대륙진출에 대한 고찰 ― 조선총독부편찬 제Ⅲ기 교과서를 중심으로 ―
-
박제홍;
;
(日本語敎育,
v.0,
2014,
pp.271-288)
-
8
-
메이지기(明治期) 일본의 교육과 전쟁에 관한 고찰
-
이권희;
단국대학교;
(日本思想,
v.0,
2012,
pp.167-194)
-
9.
- 식민지기 보통학교의 훈육 연구
- 권경희
-
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, 국내박사,
, 2004
-
10
-
한․일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한일관계 서술 분석- 중․근세사를 중심으로 -
-
박은영;
동의대학교;
(日本文化學報,
v.0,
2013,
pp.289-31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