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五書の懸吐(添加された韓國語の語助詞)に対する硏究
- 전호연
-
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87, 2006
-
2.
- 四書의 文章構造와 懸吐法 硏究
- 정만호
-
檀國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vii, 185 p., 2005
-
3
-
본초강목(本草綱目) 인삼조(人蔘條) 현토(懸吐) 번역(飜譯)
-
윤창렬;
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교실;
(論文集 : 大田大學校 韓醫學硏究所. 韓醫學編,
v.5,
1997,
pp.1-18)
-
4
-
標點과 懸吐(口訣)의 비교 분석
-
박종천;
;
(민족문화,
v.35,
2010,
pp.137-164)
-
5
-
‘爲’에 懸吐되는 口訣字와 機能
-
金星周;
;
(口訣硏究 = Journal of the society of Kugyol,
v.15,
2005,
pp.29-54)
-
6
-
四書의 經文 및 註文 해석에서 懸吐 논란 사례에 관한 고찰
-
신상후;
성신여자대학교 고전연구소;
(漢文古典硏究,
v.30,
2015,
pp.39-63)
-
7
-
『杜詩諺解』 注釋文의 文體에 對하여: ‘懸吐體’와 ‘諺語’
-
杉山豐;
京都産業大學;
(한국문화,
v.0,
2018,
pp.35-59)
-
8
-
盧守愼 編 『童蒙須知』의 書誌的 분석
-
전재동;
경북대학교;
(서지학연구,
v.0,
2020,
pp.217-243)
-
9
-
구결점의 현토 위치의 세분과 위치 변이 현상에 대하여 - 『유가사지론』 권5. 8을 대상으로
-
장경준;
;
(口訣硏究 = Journal of the society of Kugyol,
v.13,
2004,
pp.149-174)
-
10.
- 漢文 古典 懸吐의 원리 분석과 유형 분류- 「句讀解法」,「 句讀指南」, 「俚讀解」를 활용하여 -
- 이정은
-
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, 20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