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中國 妙善 觀音故事의 형성과 발전
- 한운진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i, 252 p., 2016
-
2
-
동래지역 유형문화재의 맥락과 장소성 변화
-
변광석;
박규택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;
(지역과 역사,
v.0,
2012,
pp.341-368)
-
3.
- 企業集團化的政治分析 : 經濟體制改革中的中國企業集團化
- 이홍규
-
中國社會科學院, 국외박사,
148p., 2005
-
4.
- 한·중 명절 음식문화 비교 연구
- 李舸
-
충북대학교, 국내석사,
iv, 58 p., 2014
-
5
-
蘇軾의 <葉嘉傳> 考論
-
오창화;
경성대학교;
(중국학,
v.0,
2012,
pp.153-180)
-
6.
- 한국의 무형문화유산 보전과 활용
- 김광희
-
高麗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v, 356 p., 2014
-
7
-
Land in the Construction of Translocal Chinese Community: The Ideal-type of Land Attachment and Its Demonstration in the Case of Quemoy (土地在跨域華人社群中的地位:對土地依附之理念型及其在金門個案中的表現)
-
Liu (劉名峰), Ming-Feng;
National Quemoy UniversityTaiwan;
(Translocal chinese : East Asian Perspectives,
v.10,
2016,
pp.293-315)
-
8
-
金景善筆下的北京形象研究
-
노경수(路慶帥);
중국 곡부사범대학(曲阜師範大學);
(연민학지,
v.42,
2024,
pp.415-437)
-
9
-
「三功臣會盟錄」에 관한 硏究
-
박문열;
청주대학교;
(서지학연구,
v.0,
2012,
pp.39-69)
-
10.
- 민간전승 자료로 본 한국 업(業) 신앙과 중국 보가선(保家仙) 신앙 비교연구
- 장야오궁
-
건국대학교, 국내석사,
vi, 192 p., 201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