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[書評] 漢文 古典의 지평을 넓히는 작업, --『世說新語』 완역본(상권)에 대한 소감
-
윤주필;
;
(中國小說硏究會報= Newsletter for research in Chinese novels,
v.1997,
1997,
pp.5-8)
-
2
-
現代中國에서의 古籍의 編纂과 硏究 現況 - 『中華大典』과 『儒藏』을 중심으로
-
김진철;
;
(민족문화,
v.32,
2008,
pp.297-337)
-
3
-
MOLECULAR INCOHERENCE, CONTINUITY, AND THE PERFECTION OF THE <i>LAOZI</i>
-
Lebovitz, David J.;
;
(Early China,
v.44,
2021,
pp.237-319)
-
4
-
《新撰字鏡》이체자 유형 연구―火部와 灬部를 중심으로
-
김영경;
경성대학교;
(중국문학연구,
v.0,
2012,
pp.189-209)
-
5
-
程章燦:《中國古代文獻文化史》叢書
-
汪 斌;
;
(人文中國學報,
v.,
2023,
pp.343-348)
-
6
-
中國古典小說의 出版文化 硏究 ― 조선시대 출판본과 출판문화를 중심으로
-
민관동;
;
(중국어문논역총간,
v.0,
2012,
pp.213-238)
-
7
-
趙敏俐:中國詩歌研究史·漢代卷
-
楊 傳召;
;
(人文中國學報,
v.,
2021,
pp.305-310)
-
8
-
韓國經學教育式微原因發覆
-
陳 亦伶;
;
(人文中國學報,
v.,
2017,
pp.451-467)
-
9.
- 韓國佛敎書誌學硏究 : 國家指定文化財を中心として
- 박상국
-
[大正大學], 국외박사,
vii, 293p., 2005
-
10
-
吐魯番文獻의 流散과 整理 ― ‘新材料’의 擴充 ―
-
박근칠;
한성대학교;
(중국고중세사연구,
v.0,
2010,
pp.351-40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