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論《牡丹亭》人物衆生相
-
季曉燕;
;
(東亞人文學,
v.10,
2006,
pp.171-204)
-
2
-
『牡丹亭』 언어기교의 諧謔性
-
강영매;
;
(中國語文學論集 = 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,
v.2000,
2000,
pp.151-183)
-
3
-
≪紅樓夢≫의 還魂 미메시스 활용 양상에 대한 연구
-
주준영;
한림대학교;
(중국어문논총,
v.0,
2021,
pp.79-107)
-
4
-
『春香傳』과 『牡丹亭』의 「千字文」 수용양상
-
강영매;
;
(中國語文學論集 = 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,
v.2003,
2003,
pp.549-567)
-
5
-
《牡丹亭》場上表演的几个問題
-
蔡孟珍;
;
(中國文化硏究 = The Journal of Chinese culture research,
v.5,
2004,
pp.65-92)
-
6.
- 탕현조《牡丹亭》의 등장인물별 색채심리 연구
- 김옥금
-
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xiii, 325 p., 2023
-
7.
- 청을 통해 본 창극의 현대화 양상과 의미 : 곤극 청춘판 모란정(牡丹亭)과의 비교를 중심으로
- 윤성필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116 p., 2017
-
8
-
《牡丹亭》人文精神与現代詮釋
-
龚
国
光;
;
(東亞人文學,
v.10,
2006,
pp.139-169)
-
9.
- 산유테이 엔초(三遊亭円朝)의 『괴담 보탄도로(怪談牡丹燈籠)』의 이계(異界) : 『전등신화(剪燈新話)』의 「모란등기(牡丹燈記)」, 『오토기보코(伽婢子)』의 「보탄도로(牡丹燈籠)」와의 비교를 통해
- 한성민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114 p., 2009
-
10
-
湯顯祖『牡丹亭』에 나타난 '花神'의 意味와 象徵性 고찰
-
강영매;
;
(中國語文學論集 = 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,
v.1999,
1999,
pp.311-33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