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≪韓國禮學叢書≫ 引介與補遺
-
彭衛民;
中國 西南政法大學;
(대구사학,
v.112,
2013,
pp.181-204)
-
2
-
遠求近取,旁搜曲證 - 從《六書索隱》論明人楊慎的文字學研究
-
叢培凱;
臺灣 東吳大學 中國文學系;
(중국학,
v.0,
2016,
pp.25-33)
-
3
-
程章燦:《中國古代文獻文化史》叢書
-
汪 斌;
;
(人文中國學報,
v.,
2023,
pp.343-348)
-
4
-
朝鮮櫛目文土器の 硏究, 有光敎一 著 京都大學文學部 考古學叢書 第三冊 京都, 1962年 46倍版 本文 117面(英文槪要包含) 圖版 45ㆍ地圖 1
-
金元龍;
;
(歷史 學報,
v.20,
1963,
pp.140-145)
-
5.
- 古文尙書에 대한 朝鮮時代 학자들의 認識과 考辨
- 陳亦伶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i, 227 p., 2016
-
6
-
江巨榮:《詩人視野中的明清戲曲》
-
李 碧;
;
(人文中國學報,
v.,
2020,
pp.291-296)
-
7.
- 조선시대 止酒詩 수용과 창작 양상
- 왕예
-
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, 국내석사,
iv, 122 p., 2024
-
8
-
《國語》의 국내 소장현황과 한국문인의 《國語》 활용 연구
-
이기훈;
;
(중국어문논역총간,
v.0,
2012,
pp.239-260)
-
9.
- 청말·민국 시기 역사·지리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인식의 변화
- 이빈빈
-
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, 국내석사,
, 2020
-
10.
- 하야시 후미코(林芙美子) 작품 연구 : 『방랑기(放浪記)』에 나타난 장소의 이미지를 중심으로
- 박호영
-
상명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01 p., 2011
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