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『虞美人草』における「糸」
-
山, 横
秀子;
;
(日本學報= The Korean journal of Japanology,
v.100,
2014,
pp.319-330)
-
2.
- 『虞美人草』論 : 漱石의 여성관을 중심으로
- 이수현
-
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53 p, 2008
-
3
-
『虞美人草』연구 - 허영과 허위의 문제를 중심으로
-
조영석;
;
(日本文化硏究 = Japanese cultural studies,
v.16,
2005,
pp.239-263)
-
4
-
『虞美人草』 연구 - 虛榮心과 道義心의 問題를 중심으로 -
-
조영석;
;
(日本語文學= Korean Journal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,
v.19,
2003,
pp.271-290)
-
5
-
부모자식관계로 읽는『無情』과『虞美人草』
-
오경;
;
(日本文化硏究 = Japanese cultural studies,
v.29,
2009,
pp.207-231)
-
6
-
부부관계로 읽는『무정(無情)』과 『우미인초(虞美人草)』
-
오경;
;
(日本文化硏究 = Japanese cultural studies,
v.34,
2010,
pp.235-256)
-
7.
- 夏目漱石의 '虞美人草'와 李光洙의 '無情'과의 比較 硏究
- 이지숙
-
忠南大學校, 국내석사,
82장, 1994
-
8
-
형제관계로 읽는 『무정(無情)』과 『우미인초(虞美人草)』
-
오경;
;
(日本文化硏究 = Japanese cultural studies,
v.37,
2011,
pp.367-391)
-
9
-
親子関係で読む『無情』と『虞美人草』
-
오경;
덕성여자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09,
pp.207-232)
-
10
-
『노방초(道草)』論 - 겐조(健三)의 과거를 중심으로 -
-
윤혜영;
;
(일어일문학연구,
v.68,
2009,
pp.191-20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