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한국 가면무용 변천사 연구
- 이병옥
-
경기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84 p., 1984
-
2.
- 궁중정재‘가면무용’의 상징성 연구
- 전재은
-
대진대학교 문화예술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vi, 74 p., 2010
-
3
-
가면무용의 두 가지 측면 -상징과 표현-
-
김정숙;
대구가톨릭대학교;
(한국무용교육학회지,
v.18,
2007,
pp.197-214)
-
4
-
The Thai Masked Dance 'Khon': Traditional Culture and Tourism Strategies
-
LEE, Mi Ji;
;
(아시아연구 = (The) Journal of Asian studies,
v.21,
2018,
pp.37-59)
-
5
-
가면무용의 두 가지 측면 -상징과 표현-
-
김정숙;
대구가톨릭대학교;
(한국무용교육학회지,
v.18,
2007,
pp.197-214)
-
6.
- 가면이 무용의 표현성 확대에 끼치는 영향 연구
- 박은성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 117 p., 2010
-
7.
- 처용무에 나타난 가면의 역할에 관한 연구
- 박연선
-
이화여자대학교, 국내석사,
iv, 86 p., 1999
-
8
-
네팔 「마하깔리 퍄칸(Mahakali Pyakhan)」 가면극의 역사와 전승 양상
-
전경욱;
고려대학교;
(민속학연구,
v.0,
2020,
pp.291-322)
-
9
-
能의 구조적 특징과 能面의 상징성
-
김채원;
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;
(예술과 과학기술,
v.8,
2012,
pp.60-86)
-
10.
- 기산 김준근 풍속화에 나타난 무용의 특징
- 김지연
-
대진대학교 문화예술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iv, 56 p., 201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