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문학생태학의 과제와 전망 - 스콧 슬로빅 교수와의 대화
-
강규한;
;
(문학과 환경: Literature and environment,
v.5,
2006,
pp.214-225)
-
2
-
영어 교실의 문학 텍스트 -영어교육의 통합적 접근
-
강규한;
국민대;
(영어영문학 : 한국영어영문학회 = The journal of English language & literature,
v.55,
2009,
pp.107-128)
-
3
-
동물 생명 박탈의 생태비평적 조망 : 미국의 전원에서 낚는 자연합일의 가능성과 자연 파괴의 위험성 - 헤밍웨이의 『두 마음을 가진 커다란 강』 , 『브라우티건의『미국의 송어낚시』를 중심으로
-
Kang, Gyu Han;
;
(문학과 환경: Literature and environment,
v.12,
2013,
pp.7-32)
-
4
-
『샬롯의 거미줄』에 형상화된 어린이와 동물의 세계
-
강규한;
;
(문학과 환경: Literature and environment,
v.10,
2011,
pp.99-118)
-
5
-
인간과 동물 사이 -아동문학의 동물 형상화 『버드나무 사이로 부는 바람』을 중심으로
-
강규한;
국민대;
(영어영문학 : 한국영어영문학회 = The journal of English language & literature,
v.56,
2010,
pp.79-101)
-
6
-
『월든』다시 읽기 - 문학생태학의 새로운 모형
-
강규한;
천안대;
(영어영문학,
v.49,
2003,
pp.565-581)
-
7.
- Kalman-LMS 알고리즘과 Volterra Filter를 이용한 비선형 시스템 식별
- 강규한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23 p, 2008
-
8
-
『쓴트모어』와 장소의 정령
-
강규한;
국민대학교;
(D.H. 로렌스 연구,
v.17,
2009,
pp.1-22)
-
9
-
영어 교실의 문학 텍스트—영어교육의 통합적 접근
-
강규한;
;
(영어영문학,
v.55,
2009,
pp.107-128)
-
10
-
동물권리와 자연의 언어: 생태비평적 접근 -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, 리오폴드의 산처럼 생각하기, 스나이더의 야생의 실천, 이히마에라의 고래 타는 사람을 중심으로
-
강규한;
국민대학교;
(미국학,
v.29,
2006,
pp.117-13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