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34건 중 134건 출력
, 1/14 페이지
-
1
-
공유와 협력을 통한 인문학 저변 확대-고연희 외, <한국학 그림을 그리다>(태학사, 2013)-
-
Seungho Baek,;
;
(한국문화연구,
v.26,
2014,
pp.239-245)
-
2
-
‘문자향’ ‘서권기’, 그 함의와 형상화 문제
-
고연희;
;
(美術史學硏究 =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,
v.237,
2003,
pp.165-199)
-
3
-
조선시대 시전지(詩箋紙)의 판화(版畵) 고찰
-
고연희;
;
(미술사학보 = Reviews on the history,
v.2004,
2004,
pp.253-285)
-
4
-
안휘파 회화양식의 형성과 <황산도>
-
고연희;
;
(미술사연구 = Journal of art history,
v.1999,
1999,
pp.3-28)
-
5
-
연암 일파의 회화론-화조화를 중심으로
-
고연희;
;
(미술사학보 = Reviews on the history,
v.17,
2002,
pp.185-212)
-
6
-
충(忠)을 상징한 영모화초(翎毛花草) - 규화(葵花)를 중심으로 -
-
고연희;
규장각한국학연구원;
(한국문학과예술 = The Korean literature and arts,
v.21,
2017,
pp.87-120)
-
7
-
조선후기 회화와 타자성-정선의 산수화 제작과 그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
-
고연희;
;
(미술사학보 = Reviews on the history,
v.18,
2002,
pp.23-46)
-
8
-
鄭敾의 眞景山水畵와 明淸代 山水版畵
-
고연희;
;
(美術史論壇 = Art history forum,
v.9,
1999,
pp.137-162)
-
9
-
공유와 협력을 통한 인문학 저변 확대-고연희 외, ⟨한국학 그림을 그리다⟩(태학사, 2013)-
-
백승호;
한남대학교;
(한국문화연구,
v.26,
2014,
pp.239-245)
-
10
-
충(忠)을 상징한 영모화초(翎毛花草) - 규화(葵花)를 중심으로 -
-
고연희;
성균관대학교;
(한국문학과 예술,
v.0,
2017,
pp.87-12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