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에드거 알란 포의 시에 나타난 공포의 유형 연구
- 이성화
-
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, 38장, 2015
-
2.
- 이청준의 ‘소문의 벽’ 에 나타난 광기의 의미
- 박찬기
-
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59 p., 2014
-
3
-
한국 추리서사에 나타난 ‘탐정’ 표상 - “한국 추리서사의 역사와 이론”을 위한 시론 -
-
박유희;
고려대학교;
(한민족문화연구,
v.0,
2009,
pp.397-434)
-
4.
- 애드가 알렌 포우의 소설에 나타난 공포의 유형과 특징 연구
- 방태환
-
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ⅵ, 68 p., 2011
-
5
-
전상국의 「동행」에 나타난 알레고리적 상상력 연구
-
오태호;
;
(國際語文 =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,
v.52,
2011,
pp.261-287)
-
6.
- 아랑 설화의 현대적 변용 연구
- 이수미
-
성신여자대학교, 국내석사,
v, 88 p., 2007
-
7
-
소설 속에 나타난 ‘불안’의 의미 연구 - 이청준의 「소문의 벽」을 중심으로 -
-
이은애;
덕성여자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13,
pp.327-370)
-
8
-
소설 속에 나타난 ‘불안’의 의미 연구 - 이청준의 「소문의 벽」을 중심으로 -
-
이은애;
덕성여자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 = Jorunal of Korean literary criticism,
v.42,
2013,
pp.327-370)
-
9.
- 『학원』의 문학사적 위상 연구
- 장수경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, 163 p., 2010
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