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
-
조선시대 회곽묘 출토 미라 연구에 대한 회고와 전망
-
김명주;
;
(동양학,
v.0,
2006,
pp.139-160)
-
2
-
조선시대 회곽묘 출토 미라 연구에 대한 회고와 전망
-
김명주;
단국대;
(동양학,
v.0,
2006,
pp.139-160)
-
3
-
해외 연구동향에 비추어 본 조선시대 회곽묘 출토 한국미라 연구현황
-
신동훈;
오창석;
박준범;
김명주;
복기대;
;
(동양학,
v.0,
2009,
pp.243-267)
-
4
-
해외 연구동향에 비추어 본 조선시대 회곽묘 출토 한국미라 연구현황
-
신동훈;
오창석;
박준범;
김명주;
복기대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충주대학교;
단국대학교;
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;
(동양학,
v.0,
2009,
pp.243-267)
-
5
-
변화(變化)에 대하여
-
곽미라;
;
(전기의 세계 = The proceedings of KIEE,
v.51,
2002,
pp.67-68)
-
6
-
『역옹패설ㆍ전집』의 성립에 대한 재검토 - 『귀전록(歸田錄)』의 영향을 중심으로
-
곽미라;
;
(國際語文 =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,
v.51,
2011,
pp.73-108)
-
7.
- 서울·경기지역의 朝鮮時代 士大夫 墓制 硏究
- 김우림
-
高麗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xiii, 261 p., 2007
-
8
-
MP3 태그의 XML 확장을 이용한 동기화된 재생 시스템
-
곽미라;
조동섭;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컴퓨터학과;
이화여자대학교 컴퓨터학과;
(정보처리학회논문지. The KIPS transactions. Part B. Part B,
v.b9,
2002,
pp.67-76)
-
9
-
웹 기반 수업을 위한 유해 단어 관리 게시판의 설계 및 구현
-
박지현;
곽미라;
조동섭;
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;
이화여자대학교 컴퓨터학과;
이화여자대학교 컴퓨터학과;
(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=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,
v.5,
2002,
pp.109-115)
-
10
-
16세기 筆記를 통해 본 중인층 지식인의 내면과 타자인식
-
곽미라;
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20,
pp.177-201)